학술논문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이용수 251
- 영문명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주원(Joowon Jung) 김은정(Eunjeung Kim) 최진희(Jinhee Cho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2021년 16차 아동부가조사에 응답한 고등학생 309명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SPSSWin 21.0 ver을 이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고, SPSS PROCESS macro 4.2 ver(6번 모델)을 이용하여 매개 분석을 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 또래 친구 애착, 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모두 높은 수준이었다. 둘째,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는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을 경로하여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이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이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을 높이기 위해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을 향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Data from 309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16th wave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urvey in 2021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Additionally, the SPSS PROCESS macro 4.2 (Model 6) was employed for the mediation analysis. First,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high levels of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Secondly,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among high school students influenced career maturity through the pathways of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Furthermore, the impact of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dual-mediated by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to enhance peer attachment and self-esteem in order to increase the positiv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sychosocial school environment satisfaction on career maturit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