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이용수 117
- 영문명
- Analysis of Motivation Types for Major in Counseling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sing Q Methodology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빈(Eunbin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201~22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여 상담관련 전공에 참여하는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을 확인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고자 부산시 2개 교육대학원에 재학중인 45명을 P표본으로 선정하고 5점 척도로 33개의 Q표본 진술문을 구성하여 정규분포에 분류하게 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PQ Method 2.35를 활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29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 1유형은 전문상담교사 자격증 취득형, 제 2유형은 학생상담역량 강화형, 제 3유형은 자기만족형, 제 4유형은 상담사 직업전환형, 제 5유형은 복합적 진로개발형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재학생의 진학동기를 유형별로 탐색해보고 그 특성을 바탕으로 교육대학원의 교육 및 지원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Q methodology to identify the motivation types of students who ente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participate in counseling-related major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r this purpose, 45 students attending two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Busan were selected as the P sample, and 33 Q sample statements were composed on a 5-point scale and classified into a normal distribution.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using PQ Method 2.35. As a result, based on the data of 29 people, they were classified into 5 types. Type 1 was the professional counselor certification acquisition type, Type 2 was the strengthening of student counseling capabilities, Type 3 was the self-satisfaction type, Type 4 was the counselor job preparation type, and Type 5 was the second career preparation typ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further exploration of the motivation for each type of student completing the counseling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seek education and support measures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예비교사의 가상현실(VR) 활용 교육 인식에 관한 연구
-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인공지능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분석과 개선 과제 탐색
- 대학 수업의 교수·학습 질 제고를 위한 강의평가 문항 개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