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이용수 95
- 영문명
- Longitudinal Link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Low-Income College Students Receiving Scholarship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현정(Hyunjung Park) 김민경(Min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133~15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학금 수혜를 받는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변화추이를 파악하고 진로성숙도의 변화양상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S 장학재단에서 제공하는 교육소외 아동청소년 종단연구 자료 중 2019년 당시 대학교 저학년(1, 2학년)인 395명(남성 151명, 여성 244명)의 2019~2023년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의 변화궤적을 살펴본 결과, 저소득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학년 변화에 따라 유의하게 선형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개인차를 설명하기 위해 시간변동 공변수로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학습의 동시효과는 유의하게 제시되었으나, 지연효과는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rajectory of career maturity changes in low-income college students who receive scholarship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on changes in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is, data from a longitudinal study on educationally disadvant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provided by the S Foundation from 2019 to 2023 was analyzed for 395 students (151 males and 244 females) who were in the early years of university (1st and 2nd year) in 2019.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examining the trajectory of changes in career matur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career maturity of low-income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linearly increased with grade progression. Second, when analyzing individual differences us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as a time-varying covari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were significantly presented, but the delayed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