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이용수 246
- 영문명
- Action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민수(Minsoo Jung)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15~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실행연구의 목적은 개념기반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교실에서 ‘깊이 있는 학습’을 위한 단원 설계원리 및 적용방안을 교육공학적으로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개념기반 수업모형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구성하고 개념기반 교육과정으로 설계되고 실행되고 있는 현장 수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의 틀을 마련하여 사례분석부터 모형구상, 모형숙의, 모형수정 과정을 반복하며 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개념기반 수업모형을 개념인식, 개념연결, 개념구현, 개념전이로 정교화하고,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적용 가능한 탐구주제수업, 역량형성수업, 프로젝트수업으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개념기반 수업의 설계-실행-생성과정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교실 수업에 영향을 주는 단원 설계 및 교육방법의 핵심 원리를 통합성과 목적성, 다양성과 연결성, 명료성과 효과성, 창의성과 몰입성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개념기반 수업모형 연구에 참여한 자문그룹과 워킹그룹을 심층 인터뷰하여 교수자 주도의 ‘개념적 이해 확장’과 학습자 주도의 ‘깊이 있는 학습 구현’ 측면으로 구분하여 교실 수업의 적용과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ction research is to develop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and present unit design principles and application methods for ‘deep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through educational technology. To this end, we formed advisory groups and working groups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oncept-based teaching models and analyzed cases of field classes designed and implemented as concept-based curriculum. In addition, we established a framework for developing a concept-based teaching model and developed the teaching model by repeating the process of case analysis, model planning, model deliberation, and model modific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oncept-based teaching model was elaborated into concept recognition, concept connection, concept implementation, and concept transfer, and was categorized into inquiry topic classes, competency building classes, and project classes applicable to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In addition, by reviewing the design-implementation-creation process of concept-based classes, the core principles of unit design and teaching methods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classroom classes were presented as: integration and purpose, diversity and connectivity, clarity and effectiveness, and creativity and immersion. In particular,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s with the advisory groups and working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study of the concept-based teaching model, implications for the application and implementation of classroom teaching were derived by dividing them into instructor-led ‘expansion of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learner-led ‘implementation of in-depth learning’ aspect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교차원의 긍정적 행동중재에 대한 특수교사 및 행동중재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근거이론 연구
- 메타분석을 통한 특수교사 소진 영향 변인 탐색: 감정노동,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 중등 특수학급 교사의 수업 나눔에 관한 사례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