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이용수 102
- 영문명
- Analysis of Learner Demand for Microdegrees A Compparison Between Non-Engineering and Engineer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정효정(Hyojung Jung) 도현미(Hyunmi Do)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3호, 41~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학교육에서 빠르게 모듈형 교육과정 도입이 논의되고 있으나,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의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대해서는 심도 있는 논의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이 갖는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마이크로디그리의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인식, 유형별 마이크로디그리의 참여 의향 등을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마이크로디그리가 필요한 제도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비이공계 학생(M=4.11)이 이공계 학생(M=3.92)에 비해 관심 영역에 대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더불어, 진로 개척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마이크로디그리 참여 의향에 대한 설문에서 이공계 여부와 상관없이 ‘기업연계형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의향이 가장 높았다. 이는 대학에서 긴밀한 산학연계를 통해 실무역량을 입증해줄 수 있는 마이크로디그리를 발굴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12학점 이내로 운영되는 마이크로디그리가 효과적이고 매력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업 설계가 면밀하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인식과 일부 우려의 목소리를 담아 대학 교육의 실효성 있는 교육과정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modular curriculum is being discussed rapidly in university education, there is a lack of in-depth discussion on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Microdegrees by learners.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Microdegree curriculum design through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s of Microdegrees. A survey was conducted separately between non-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jors on topics such as awareness of Microdegree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Microdegrees by type,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did not know much about Microdegrees,while many students responded that Microdegree werea necessary system. Compared to non-engineering students (M=3.92), engineering students (M=4.11) thought it wa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capabilities in their area of interest, and they also thought it would be helpful in career development. In a survey on th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Microdegrees by type, the intention for ‘Company-linked Microdegree’ was the highest, regardless of whether it was a non-engineering or engineering field. This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for universities to discover Microdegrees that can demonstrate practical capabilities through close industry-academic linkages. In order for Microdegrees, which are limited to 12 credits, to be operated effectively and attractively, classesneed to be carefully designed. Microdegreesshould be operated as an effective curriculum for university education, reflecting learner awareness and some concerns about Microdegre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린교육연구 제32권 제3호 목차
- 심리·사회적 학교환경 만족도와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또래애착과 자아존중감의 이중매개효과
- 생성형 인공지능 챗봇을 활용한 질의응답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차이
- CAMPUS Asia 확장사업에서 문화적 친밀성 기반 참여동기가 교육 만족도를 매개로 범아시아 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성장모델을 활용하여 부모 지원이 자녀의 자아개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마이크로디그리에 대한 학습자 수요 분석
- 세계시민교육 프로그램이 성인기 발달장애인의 세계시민의식과 문제해결력 및 사회정서역량에 미치는 영향
- 시민참여 측정도구 연구의 체계적 문헌고찰
- 프로젝트 기반 수업에서 문제해결력과 정의적 성취 간 관계
- 개념기반 수업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실행연구
- 저소득층 장학금수혜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 Q방법론을 활용한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학생의 진학동기 유형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한국 고등학생들의 이슬람 이해와 역사 지식의 활용
- 다문화 이해 교육의 철학적 근거 탐색: 딜타이의 해석학을 중심으로
- 중등 교사의 다문화 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