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이용수 13
- 영문명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김현준(Hyeonj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873~91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대중의 태극기 사용에 주목하여, 본 연구는 한국에서의 비공식적 내셔널리즘과 국가의 공식적 질서의 관계를 탐구한다. 역사적으로 태극기는 공식 상징으로 제정 당시부터 그것이 통용되는 의미의 변화를 겪었다. 태극기는 군부 및 발전국가의 정당화, 권위주의 정부에 대한 저항의 상징, 시장에서의 국가이미지의 상품화, 그리고 새로운 보수세력의 발흥의 의미를 지녀왔다. 담론적 제도주의에 근거하여, 저자는 역사적으로 당연하게 받아들여지는 헤게모니로서 구성된 국가 상징이 특정한 정치 세력에 의해 배타적으로 사용될 경우 그러한 당연함에 균열이 가해질 수 있음을 밝힌다. 본 연구는 그러한 집단들이 공공연히 국가 상징을 사용할 수록, 그들은 암묵적으로 그들이 네이션의 정당한 행위자로 받아들이는 국가-체제 질서의 위기를 보여주고 있음을 강조한다. 이는 현재 세계 곳곳에서 우익 포퓰리즘 집회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국기의 유사한 사용을 이해할 수 있는 시사점을 준다.
영문 초록
Focusing on the popular usage of the national flag in South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nationalism and the formal order of the state in Korea. Historically, from its legal adoption as an official symbol and its proliferation into society, South Korea’s national flag, Taegeukgui, has experienced changes in its meaning. It has been used for varied purposes: legitimising the military and developmental state, mobilising the democratic resistance against the authoritarian state, commercialising the national image in the market, and rehabilitating neo-conservative forces. Based on the methodology of discursive institutionalism, the author attempts to elucidate that this historically constructed hegemonic taken-for-grantedness of the national symbols gets broken when certain political groups use them to emphasise their exclusive meaning in a symbol. This study highlights that as those groups explicitly use the national symbols to legitimise their political opinion, they implicitly show the crisis of the state-system order, which they believe in as a legitimate agency of the nation. This implication will be helpful in a broader understanding of the similar usage of the national flags recently arising around the world in right-wing populist ralli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Banal nationalism, hegemony and political legitimation in everyday life
Ⅲ. Hegemonization of Taegeukgi in Korean society: 1945~1987
Ⅳ. Taegeukgi in the democratised Korea: 1990s~2000s
Ⅴ. The Formation of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Candlelight Vigil vs Taegeukgi Rally: 2002~present as of the year 2024
Ⅵ. Conclusion: The Crisis of Hegemonic idea of nationalism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6권 2호 목차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미-러 에너지 전쟁과 러-우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전략적 대응
- 러시아 발레 교육의 역사와 바가노바 시스템
-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노동자(E-9)의 건강 경험
-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 웹툰 언어의 특징 연구
-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 최규하 대통령 연구
-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이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웹툰 원작의 OTT 활용 사례와 웹툰 지식재산(IP)의 세계관 확장에 대한 제언
- 지방소멸에 대응한 K-콘텐츠 중심의 워케이션 정책 추진 방향 연구
-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러시아 문화정책의 변화와 러시아 사회에서 K-콘텐츠의 전망
- 재난 현장의 경관 유적지를 지각하는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우리나라 지방규제의 흐름에 대한 소고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국회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연구
- 제인 오스틴의 『엠마』에 묘사된 여성의 돌봄 노동과 그 보상
-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연구
-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방법 연구
- 중국의 아세안 고등교육정책 연구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생명존중인식 활성화 방안연구
- 中国社交媒体对埃隆·马斯克人物形象认知的特点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