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이용수 65
-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impact of high school students' relationship with parents,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n game addiction : Focusing on confirming the mediating effect by applying PROCESS Macro Model 6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이동욱(Donguk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103~137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목적은 고등학생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방정환재단이 주관하고 연세대 사회발전연구소에서 시행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2021년 제12차 조사의 고등학교 청소년 2,272명을 연구의 대상자로 정하였다. 고등학생의 게임중독에 미치는 독립변인들의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6.0 및 PROCESS Macro를 사용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는 스트레스에 부적 영향, 주관적 행복도에 정적 영향, 게임중독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스트레스는 주관적 행복도에 부적 영향, 게임중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적 행복도는 게임중독에 부적 영향을 주는 것이 규명되었다. 넷째, 부모와의 관계와 게임중독 간의 관계 내에서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도는 부적인 매개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향후,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및 과몰입을 예방할 수 있는 교육지원 정책 마련 및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relationships with parents,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on game addictio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272 high school youth from the 2021 12th survey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Well-Being Index” hosted by the Korea Bang Jeonghwan Foundation and conducted by the Social Development Research Institute of Yonsei University. SPSS 26.0 and PROCESS Macro were used to confirm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on high school students' gaming addiction. First, it was confirm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stress,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a nega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Second,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and a posi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ubjective happi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game addiction. Fourth, stress and subjective happiness had a negative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game addiction.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establishing educational support policies and operating programs to prevent game addiction and overindulgence among youth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6권 2호 목차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미-러 에너지 전쟁과 러-우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전략적 대응
- 러시아 발레 교육의 역사와 바가노바 시스템
-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노동자(E-9)의 건강 경험
-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 웹툰 언어의 특징 연구
-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 최규하 대통령 연구
-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이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웹툰 원작의 OTT 활용 사례와 웹툰 지식재산(IP)의 세계관 확장에 대한 제언
- 지방소멸에 대응한 K-콘텐츠 중심의 워케이션 정책 추진 방향 연구
-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러시아 문화정책의 변화와 러시아 사회에서 K-콘텐츠의 전망
- 재난 현장의 경관 유적지를 지각하는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우리나라 지방규제의 흐름에 대한 소고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국회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연구
- 제인 오스틴의 『엠마』에 묘사된 여성의 돌봄 노동과 그 보상
-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연구
-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방법 연구
- 중국의 아세안 고등교육정책 연구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생명존중인식 활성화 방안연구
- 中国社交媒体对埃隆·马斯克人物形象认知的特点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