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이용수 15
- 영문명
- Candidate Morality and Urban, Rural, and Suburban Voting Behavior : Focusing on the 2020 U.S. Presidential Election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이종곤(Jongk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441~46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미국 대선 결과를 중심으로 도시, 농촌, 그리고 교외 지역 주민의 투표행태를 분석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미국에서 지역기반 정체성이 강화되며 도농 양극화가 높은 수준에 이르고 있다. 이에 따라 도시 지역은 민주당, 시골 지역은 공화당의 강한 당파색을 드러내고 있다. 그 결과 도시와 시골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은 도덕성이 낮은 후보자를 선거를 통해 배제하지 못하고 있다. 통계 및 사례분석 결과 2020년 미국 대선에는 재임 당시 많은 도덕적 논란을 빚었던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출마했음에도 후보자 도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도시, 시골 거주민들의 투표 행태는 그렇지 않은 주민들과 차이가 없었다. 이와는 달리 도시와 시골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는 교외 지역에서는 후보자 도덕성을 중요하게 여길수록 트럼프 후보에 대해 표를 주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 수준이 높은 경우 이러한 경향이 더욱 명확하게 나타났다.
영문 초록
Since the 2000s, in the United States, the place-based identity of urban and rural areas has been strengthened, and the polariza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has risen to a high level. As a result, residents living in urban or rural areas tended to cast partisan votes even when they considered the candidate's morality important. Although Donald Trump, who caused many political and moral controversies during his tenure, ran for the 2020 election, urban or rural residents' thoughts on candidate morality did not lead to avoidance of Trump. On the contrary, it was found that suburban residents did not vote for Trump as they valued candidate morality. This trend was more pronounced, especially in the case of more educated suburban residents.
목차
Ⅰ. 서론
Ⅱ. 도시, 시골, 교외 지역과 확증편향
Ⅲ. 통계분석
Ⅳ. 사례분석: 미시간, 펜실베이니아, 위스콘신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6권 2호 목차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미-러 에너지 전쟁과 러-우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전략적 대응
- 러시아 발레 교육의 역사와 바가노바 시스템
-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노동자(E-9)의 건강 경험
-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 웹툰 언어의 특징 연구
-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 최규하 대통령 연구
-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이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웹툰 원작의 OTT 활용 사례와 웹툰 지식재산(IP)의 세계관 확장에 대한 제언
- 지방소멸에 대응한 K-콘텐츠 중심의 워케이션 정책 추진 방향 연구
-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러시아 문화정책의 변화와 러시아 사회에서 K-콘텐츠의 전망
- 재난 현장의 경관 유적지를 지각하는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우리나라 지방규제의 흐름에 대한 소고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국회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연구
- 제인 오스틴의 『엠마』에 묘사된 여성의 돌봄 노동과 그 보상
-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연구
-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방법 연구
- 중국의 아세안 고등교육정책 연구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생명존중인식 활성화 방안연구
- 中国社交媒体对埃隆·马斯克人物形象认知的特点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