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활용한 한국어 말하기 개별화 수업 설계
이용수 3
- 영문명
- Desig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Korean Speaking Using Metaverse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윤서연(Seoyeon Yoon) 최은정(Eunjeong Choi)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1호, 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학생들이 한국어 미숙으로 인해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어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개별화 수업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학생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말하기 기술을 선택해 개별화 수업을 설계하고자 했다. 개별화 수업이 어려운 한국어 학급의 환경을 고려해 에듀테크를 활용하고자 했고, 그중 말하기 수업에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메타버스를 플랫폼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에서의 말하기 개별화 수업 설계 원리를 제안하기 위해 먼저 관련 연구를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교육 교수자와의 면담을 통해 한국어 학급 지도 현황을 살펴보고 메타버스에서의 말하기 개별화 수업 설계 원리를 제시했다. 이후 교재 분석을 통해 한국어 학급 학생에게 필요한 기능을 선정하고 면담을 통해 파악한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안을 구안했다. 해당 수업안에 관한 전문가 검토를 진행해 타당성을 확보하고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수정 및 보완한 최종 수업안을 고안하였다. 연구 결과 메타버스에서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 설계를 위해 ‘학습자의 특성 파악, 교수-학습-평가 연계, 주도적인 학습 환경 마련, 소통 기회 제공’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이 필요로 하는 기능은 ‘인사하기, 소개하기’임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안을 작성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 설계 원리를 제안하며 앞으로 활발히 이뤄질 메타버스 환경에서의 말하기 수업 설계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안을 고안했다. 해당 연구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별화 수업을 진행하며 학습자들의 학교 적응을 돕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differentiated instruction for Korean language classes to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struggle to adapt to school due to their lack of proficiency in Korean. In particular, it focuses on speaking, a skill that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on their own and which vari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individual learner characteristics. To design differentiated lessons, the study considered the use of Edutech, given the challenges of implementing such lessons in a Korean language class environment, which typically has diverse learners and large numbers of students. The Metaverse, a platform actively used in speaking lessons, was selected as the primary tool.
In this study, to establish principles for desig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speaking lessons in the Metaverse, relevant research was first analyzed. Additionally,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class, interviews with Korean language educators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rch analysis and interviews, the principles for desig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speaking in the metaverse were summarized. Subsequently, a functional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was conducted to select the necessary features for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and lesson plans were developed, reflecting the learner characteristics identified in the interviews. Expert reviews of the lesson plans were conducted to ensure the validity, and the final lesson plans were revised and refined based on expert feedback. The principles for designing differentiated instruction of speaking lessons in the Metaverse are ‘understanding learner characteristics, linking teaching-learning-assessment, creating an autonomous learning environment, providing communication opportunities.’ Additio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functions required by learners are ‘greeting’ and ‘introducing oneself,’ which served as the basis for developing the lesson plans. This study summarizes the principles of lesson design and suggests a direction for designing speaking lesson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hich is expected to become more prevalent in the future. It also provides lesson plans that are applicable in real classroom settings.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Korean language class student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smoothly in Korean and adapt to school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