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개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와 일반 중학생의 이해 수준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Comparison of Understanding levels of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nd General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Concept of ‘Phase Change and Thermal Energy’
- 발행기관
- 순천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다빈(Dabin Kim) 이고은(Goeun Lee) 최원호(Wonho Choi)
- 간행물 정보
- 『현장수업연구』제6권 제1호,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상태 변화와 열에너지 개념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들의 이해 수준을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성취기준 도달도를 세분화하여 세부 성취수준을 만들고, 학생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일반 학생은 과학 영재 학생에 비해 도달한 성취수준이 낮았다. 둘째, 과학 영재 학생이라도 성취기준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모두 이해한 성취수준에 도달한 학생 비율은 적었다. 셋째,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 학생이 도달한 성취수준이 같은 경우가 있더라도, 학생 응답을 분석하면 일반 학생은 과학 영재 학생에 비해 과학 용어나 문장의 표현 등에서 미숙한 부분이 존재했다. 우리나라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이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위 학년의 개념 이해가 상위 학년의 개념 이해에 연속적으로 영향을 준다. 그래서 과학과 교육과정 내에서 성취수준별 학생들이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정보는 개별 학생들의 교육에 중요하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과학 영재 뿐만 아니라 일반 학생들의 과학 교육을 위한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understanding levels of gifted middle school science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regarding the concepts of phase change and thermal energy. To this end, we divided the achievement standards into sub-levels to create detailed achievement levels, and conducted a survey of students to analyze the results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following: First, the achievement level of regular students was lower than that of science gifted students. Second, even among science gifted students, the percentage of students who reached the achievement level of understanding all the content required by the achievement standards was small. Third, even when the achievement levels of general students and science gifted students are the same, analysis of student responses showed that general students were less proficient in scientific terminology and sentence expressions than science gifted students. Since the national curriculum of our country is hierarchically structured,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in lower grades continuously affects the understanding of concepts in higher grades. Therefore, empirical information on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level within the science curriculum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individual students.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setting directions for science education for not only science gifted students but also genera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