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이용수 53
- 영문명
- Changes in visual representation and narrative structure in animation : the case of 'Chang An'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양양(Yang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241~26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장안삼만리>에서 이백이 <장진주>를 낭송하는 장면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시 텍스트가 시각화되는 과정과 분위기 이론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전통 시의 분위기를 구체적인 시각적 이미지로 변화시키는 시각예술 도구의 예술적 창작과 표현 기법을 탐구한다. 텍스트 분석을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요소와 서사 구조, 분위기의 변용을 연구한다. 시 원문과 비교하여 애니메이션과 시 원문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장안삼만리>의 시각 요소, 예를 들어 색상과 구성은 서사의 매력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관객이 시구 뒤에 있는 감정과 철학을 더 직관적으로 느끼도록 돕는다. 서사 구조의 설계와 전개는 정서 변환을 위한 조건을 성공적으로 창조하였으며, 애니메이션은 시구의 깊은 의미를 표현할 뿐만 아니라 관객에게 깊은 예술적 및 감정적 체험을 제공한다. 이 연구의 결론은 학문적 연구와 실무적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학술적 측면에서는 정서 이론이 현대 시각 예술에서의 응용 가치와 복잡한 예술 현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의 학제 간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실무적 측면에서는 이 연구가 애니메이션 제작 및 문화 전파에 대한 실질적인 지침을 제공하며, 특히 전통문화 소재 처리 및 깊은 정서 창조에 중점을 둔다. 그러나 이 연구는 시각 요소에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음악, 성우 등 비시각적 요소의 영향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한 일정한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탐구를 고려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다른 이론 및 방법을 결합하거나 다양한 유형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분석하고 음악, 성우 등 비시각적 요소의 역할을 고려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visualization of poetic texts in animation and its connection to mood theory, focusing on the scene in where Li Bai recites . It explores the artistic techniques used to transform the mood of traditional poems into visual images, analyzing the transformation of visual elements, narrative structure, and mood through textual analysi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original texts of the poems. Findings reveal that visual elements in , such as color and composition, not only enhance narrative appeal but also convey emotions and philosophies more intuitively. The narrative structure facilitates mood transformation, enabling the animation to convey deeper meanings and provide a profound artistic and emotional experience. This study underscore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ontext theory in modern visual art, offering guidance for animation creation and cultural dissemination. However, it acknowledges limitations, particularly the focus on visual elements without fully considering the impact of non-visual f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애니메이션 <장안삼만리>의 시각적 표현 및 서사 구조에 대한 의경의 변화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6권 2호 목차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미-러 에너지 전쟁과 러-우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전략적 대응
- 러시아 발레 교육의 역사와 바가노바 시스템
-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노동자(E-9)의 건강 경험
-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 웹툰 언어의 특징 연구
-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 최규하 대통령 연구
-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이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웹툰 원작의 OTT 활용 사례와 웹툰 지식재산(IP)의 세계관 확장에 대한 제언
- 지방소멸에 대응한 K-콘텐츠 중심의 워케이션 정책 추진 방향 연구
-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러시아 문화정책의 변화와 러시아 사회에서 K-콘텐츠의 전망
- 재난 현장의 경관 유적지를 지각하는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우리나라 지방규제의 흐름에 대한 소고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국회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연구
- 제인 오스틴의 『엠마』에 묘사된 여성의 돌봄 노동과 그 보상
-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연구
-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방법 연구
- 중국의 아세안 고등교육정책 연구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생명존중인식 활성화 방안연구
- 中国社交媒体对埃隆·马斯克人物形象认知的特点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