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Acceptance of Houqishuo(候氣說) During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주효(Xiao Zhou)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6권 2호, 751~387쪽, 전체 1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나라의 『후한서(後漢書)』를 시작으로 중국에서 발전이 된 후기설과 조선시대에 중국에서 수용된 후기설과 그 문화적 양상을 비교하여 조선시대에 받아들여진 후기설의 실행과 그와 관련되어 나타난 이론과 비평을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된 연구는 문헌학과 비교학의 연구 방법을 토대로 하였다. 조선 초기의 후기설은 『율려신서(律呂新書)』를 통해 조선의 궁중에 전해지고 그와 관련된 후기법도 실행을 하였다. 그리고 조선 후기에는 후기설에 대한 논의가 궁중이 아닌 문인을 중심으로 변한 것을 알 수가 있다. 후기설에 대하여 조선의 후기설을 살펴본 결과, 17세기 말에 중국에서 폐지 된 후기설은 조선의 궁중에서도 역시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었으나, 18세기까지도 조선의 문인들을 후기설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조선시대에 후기설이 정치적인 관점과 음악적인 관점에서 비교적 중요하게 작용을 하였다는 것을 증명한 것이다. 따라서 중국에서 수용되어진 후기설은 조선시대의 유가 음악사상 문화가 어떻게 발전이 되었는지를 탐색하는 것과 음악과 관련된 중국의 이론이 조선의 후기에는 점차적으로 조선의 음악이론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볼 수가 있다고 사료가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examine the cultural aspects of the Houqishuo, which originated from the Han Dynasty in China, and its transmission to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practices and evaluations after the Joseon Dynasty adopted such beliefs. The Houqishuo was introduced to the Joseon Dynasty’s court in its early stages through the “Lulu xinshu(律呂新書)” and relevant practices of the Houqifa(候氣法) began to be implemented. Discussions about the Houqishuo in later periods in the Joseon Dynasty shifted from the palace to literati circles. The conclusion of the examination of the Houqishuo in the Joseon Dynasty is as follows: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attitude towards the Houqishuo, which had already been abolished in China, was similarly negative in the Joseon Dynasty’s court. However, by the 18th century, there were still affirmations of the Houqishuo among the Joseon Dynasty literati. Based on this, it can be demonstrated that the Houqishuo plays an important role both politically and musically. Therefore, exploring how the Houqishuo, transmitted from China, developed in Korean Confucian music thought and culture also provides insights into the process of change in music theory originated from China during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선시대 궁중 후기설의 수용
Ⅳ. 조선시대 문인 후기설의 논쟁
Ⅴ.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과 세계 제6권 2호 목차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사이버 불링 피해 경험의 매개효과
- 청소년의 부모지지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생의 부모와의 관계, 스트레스, 주관적 행복도가 게임중독에 미치는 영향 검증
- 우즈베키스탄 석사과정 유학생의 한국 유학 준비 과정과 초기 적응에 관한 연구
- 애니메이션에서 시각적 표현과 서사구조에 따른 의경의 변화
- 미-러 에너지 전쟁과 러-우 사태로 인한 유럽의 에너지 위기와 전략적 대응
- 러시아 발레 교육의 역사와 바가노바 시스템
- 청년의 정책인지도와 정책태도의 관계에서 정책효능감의 매개효과
- 한국의 고용허가제 비전문취업노동자(E-9)의 건강 경험
- 조직공정성과 직무만족에 대한 조직후원인식의 매개효과
- 웹툰 언어의 특징 연구
- 치매노인 주돌봄자의 돌봄부담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조선시대 후기설(候氣說)의 수용 양상
- 최규하 대통령 연구
- 영화 <라이스 보이 슬립스>에 나타난 디아스포라로서의 문화 적응의 과정과 정체성 확립
- Crack in the Taegeukgi : Symbolisation of Nationalism and the Changes in the State-System in Korea
- 창의적 교실 환경 인식과 학업성취도의 관계
-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교육 경험이 정보추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인성역량이 학업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웹툰 원작의 OTT 활용 사례와 웹툰 지식재산(IP)의 세계관 확장에 대한 제언
- 지방소멸에 대응한 K-콘텐츠 중심의 워케이션 정책 추진 방향 연구
- 우크라이나 전쟁 전후, 러시아 문화정책의 변화와 러시아 사회에서 K-콘텐츠의 전망
- 재난 현장의 경관 유적지를 지각하는 관광객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우리나라 지방규제의 흐름에 대한 소고
-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적응 과정과 평생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 후보자 도덕성과 도시, 농촌, 교외의 투표 행태
- 국회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북한이탈여성 노인의 성공적 노화 척도 개발 연구
- 제인 오스틴의 『엠마』에 묘사된 여성의 돌봄 노동과 그 보상
- 생성형 인공지능(AI) 영역 내 미국과 유럽연합의 협력과 경쟁
-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질적메타종합연구
- 챗GPT를 활용한 대학 교양영어 수업방법 연구
- 중국의 아세안 고등교육정책 연구
-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에 따른 생명존중인식 활성화 방안연구
- 中国社交媒体对埃隆·马斯克人物形象认知的特点分析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