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혀’의 유형과 양상

이용수 9

영문명
The Type and aspect of ‘Jeonhyeo’
발행기관
어문연구학회
저자명
이은정(Lee Eun-jung)
간행물 정보
『어문연구』第119輯, 69~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3.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현대국어에서 부정극어의 범주에 속하는 부사 ‘전혀’가 부정극어가 아님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국어의 ‘전혀’는 ‘전혀(全혀)01’와 ‘전혀(專혀)02’의 두 가지가 있는데, ‘전혀’는 중세국어 시대에 한자어 어근 ‘전(全)-’과 ‘전(專)-’에 부사의 제2요소로 많이 참여하는 ‘->혀’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부사이다. 두 가지의 ‘전혀’ 중에서 ‘전혀(全혀)01’는 주로 부정을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이는 부정극어로, ‘전혀(專혀)02’는 ‘오직 한 곬으로’라는 의미를 지닌 부사로 구분되는데, 현대국어 화자들은 이를 인식하지 못하고 두 가지의 ‘전혀’를 혼재하여 사용하고 있다. 대다수의 화자들은 ‘전혀’를 부정극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전혀’가 긍정문에 쓰이면 비문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통시적으로 고찰하여 ‘전혀’의 유형이 ‘전혀(全혀)01’와 ‘전혀(專혀)02’만 존재했는지, 다른 유형의 ‘전혀’가 존재했는지 확인해 보았다. 2장에서는 ‘전혀’를 15세기부터 20세기까지 시대별로 나누어 그 양상이 긍정과 부정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전혀’는 긍정문과 부정문에서의 쓰임에만 주목하여 어떠한 유형의 ‘전혀’가 더 많이 쓰였는지를 확인해 보았는데, 총 632개의 문장 중에서 긍정문에 389개, 부정문에 243개가 확인되어 긍정문에 쓰인 비율이 61.5%로 부정문에 쓰인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3장에서는 문헌 자료를 통해 ‘전혀’의 쓰임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보았다. 먼저 첫 번째와 두 번째 유형은 15세기 국어부터 그 쓰임이 확인된 ‘전혀(全혀)01’와 ‘전혀(專혀)02’로 두 가지 유형이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 살펴보았고, 세 번째 유형으로는 ‘전혀’에 쓰인 한자가 ‘全’과 ‘專’과는 다른 ‘도(都), 일(一), 개(皆), 혼(渾), 료(了)’가 쓰인 유형을 찾아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네 번째 유형은 원문에 ‘전혀’와 관련이 있는 한자어가 없음에도 ‘전혀’가 사용된 경우를 찾아보았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의 ‘전혀’의 양상을 살펴보니 네 가지 유형 모두 긍정문과 부정문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볼 때, ‘전혀’는 부정극어로서의 특성을 지닌다기보다 중세국어 시대부터 긍정문과 부정문에 자유롭게 어울려 쓰이고 현재까지 그 쓰임에 제한이 없는 강조부사라고 보아야 한다는 것이 본고의 주장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confirm that the adverb ‘jeonhyeo’ which falls under the category of negation polarity item, is actually not necessarily a negation polarity item. In modern Korean, the adverb ‘jeonhyeo’ has two forms set apart by the make-up compositions of its Chinese characters: jeonhyeo(全hyeo)01' and ‘jeonhyeo(專hyeo)02' The adverb was originally formed in the ‘Middle Korean’ period by combining the letters of Sino-Korean roots with the suffix ‘-hhyeo>hyeo’ which were commonly used as the second elements of adverbs during the Middle Korean period Among the two forms of ‘jeonhyeo', ‘jeonhyeo(全hyeo)01' is mainly used as a negation polarity item, often conveying a negative expression. 'jeonhyeo(hyeo)02' on the other hand is distinguished as an adverb with the meaning of ‘only one thing’ or ‘solely’. However, modern Korean writers often fail to recognize this distinction between the two adverbs and use both forms interchangeably. The majority of modern Korean writers as well as Korean speakers consider ‘jeonhyeo' as an expression of negativity. If ‘jeonhyeo’ is used in an affirmative context, it is perceived as ungrammatical. By examining this diachronically, we confirmed whether there were only ‘jeonhyeo(全hyeo)01' and ‘jeonhyeo(專hyeo)02' types of ‘jeonhyeo', or whether other types of ‘jeonhyeo' existed. In Chapter 2, we divided ‘jeonhyeo’ by era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and looked at how it appeared in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At this time, we focused only on the use of ‘at all’ in positive and negative sentences and checked which type of ‘at all’ was used more often. Among a total of 632 sentences, 389 were identified as positive sentences and 243 were identified as negative sentences, and the proportion used in positive sentences was 61.5%, which was higher than the proportion used in negative sentences. In Chapter 3, we classified the use of ‘at all’ into four types through literature. First, the first and second types are ‘jeonhyeo(全hyeo)01' and ‘jeonhyeo(專hyeo)02' which have been used since the Korean language in the 15th century. We looked at how the two types appear, In the third type, the Chinese characters used for ‘jeonhyeo’ are ‘Do(都)’, ‘Il (一)’, ‘Gae(皆)’, ‘Hon(渾)’, and ‘Ryo(了)’ which are different from ‘全’ and ‘專’. I found the type and looked at its aspects. The fourth type looked for cases where ‘at all’ was used even though there were no Chinese characters related to ‘jeonhyeo’ in the original text. For this reason it is hard to clarify which types of ‘jeonhyeo’ the author wants to convey to the reader. Regardless, it is safe to say that from the modern era and onwards, ‘jeonhyeo' continues to exhibit diverse usage patterns in both affirmative and negative contexts.

목차

1. 서론
2. ‘전혀’의 시대별 양상
3. ‘전혀’의 유형과 양상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Lee Eun-jung). (2024).‘전혀’의 유형과 양상. 어문연구, (), 69-92

MLA

이은정(Lee Eun-jung). "‘전혀’의 유형과 양상." 어문연구, (2024): 6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