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텍스트 읽기와 영상 보기에 따른 학생 반응글의 양과 질 차이 연구

이용수 47

영문명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Quantity and Quality of Student Response Writings Between Reading Text and Watching Video: Focusing on the classic ‘The Old Man and the Sea’
발행기관
한국리터러시학회
저자명
이지영(Lee Jiyoung)
간행물 정보
『리터러시 연구』15권 1호, 259~292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전 ‘노인과 바다’를 텍스트 읽기와 영상 보기이라는 두 가지 매체를 통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여,매체 선택이 학습자의 텍스트 이해와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연구 참여자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교 1학년 학생 115 명이었으며,학생들은 임의로 선정된 매체 순서에 따라 ‘노인과 바다’를 텍스트로 읽거나 영상으로 시청한 후,인상 깊었던 내용에 대한 반응글을 작성하였다.연구 결과는 양적분석과 질적 분석을 통해 도출되었다.연구 결과,텍스트 독서와 영상 시청 후 학생들이 작성한 반응글의 양적 분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그러나 질적분석에서는 매체별로 학습자의 반응에서 상이한 이해와 반응 양상이 나타났다.텍스트 읽기는 작품의 내면적 해석과 개인적 성찰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영상보기는 작품의 시각적 이해와 감정적 몰입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결과는 읽기 교육에서 텍스트 읽기와 시각적 매체의 통합적 활용이 학생 독자의 이해와 반응을 풍부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따라서 국어 교사는 학습자의 읽기 능력 수준이나 동기 등 개인 특성을 고려한 매체 활용 읽기 교수학습 전략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본 연구는 읽기 교수학습 방법의 다양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읽기 연구와 교육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students’ responses to the classic 'The Old Man and the Sea’ through two media, reading the text and watching the video, to explore the impact of media selection on learners’ literary understanding and responses. The participants were 115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from diverse majors.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ad the text of ‘The Old Man and the Sea’ or watch its video adaptation, then wrote responses to the content that made an impression on them. The research findings were obtained through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respons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ading the text and watching the video. However, the qualitative analysis revealed distinct patterns of literary understanding and responses between the two media. Reading the text encouraged deep internal interpretation and personal reflection, whereas watching the video enhanced visual comprehension and emotional engagement with the narrativ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tegrating text reading and visual media in literature education can enrich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sponses to literary works. Consequently, educators, especially those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hould consider devising reading education strategies that leverage media to accommod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students’ reading levels and motivations. This research provides essential insights for future reading research and educational practices that aim to divers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by incorporating various medi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지영(Lee Jiyoung). (2024).텍스트 읽기와 영상 보기에 따른 학생 반응글의 양과 질 차이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 (1), 259-292

MLA

이지영(Lee Jiyoung). "텍스트 읽기와 영상 보기에 따른 학생 반응글의 양과 질 차이 연구." 리터러시 연구, 15.1(2024): 259-2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