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이용수 7

영문명
The Cultural and Historical Approach of the Blind Eel(꼼장어)
발행기관
대한중국학회
저자명
나도원(Do-Won Na)(羅度垣)
간행물 정보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5輯, 445~46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꼼장어는 곰장어가 경상도 사투리로 된소리화된 것이다. 꼼장어의 정식 명칭은 먹장어인데, 먹은 검다, 컴컴하다는 의미의 순우리말로 먹장어 눈이 퇴화하여 수염과 같은 더듬이로 먹이를 찾는 모습에서 이름 붙여진 것이다. 곰장어가 꼼장어로 발음되는 현상을 말머리 된소리 현상 혹은 두음 경음화 현상이라고 한다. 말머리 된소리화는 음절의 앞에 위치하므로 음운론적 영향 관계보다는 외적인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 먹장어라는 기의(signifié)의 측면에서 보자면 ‘꼼장어’와 ‘곰장어’는 같은 기표(siginifiant)이다. 그러나 바르트의 말처럼 각 기표에는 사회적·문화적·정치적 신념과 가치가 부착되는 내포적 의미가 달라진다. 따라서 본고는 ‘꼼’장어에 대해 식용의 역사와 사회적 배경을 문화사적 관점에서 접근해봄으로써 ‘꼼’장어가 곰장어와 다른 내포를 가진 기표임을 주장하고자 한다. ‘꼼’장어가 식용되기 시작한 것은 근대에 접어들면서부터이고 부산과 경상남도 일대를 중심으로 시작하여 전국으로 알려졌다. 꼼장어의 식용에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그리고 1970년대와 80년대의 부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경공업 중심의 수출주도산업화, 살아있는 날 것의 꿈틀거림, 거칠고 투박한 부산 사투리, 그리고 서민이라는 특징이 있다. 이 특징들을 관통하는 하나의 정체성은 바로 ‘저항’이다.

영문 초록

‘꼼장어’ is a word-initial glottalization phenomenon in which ‘곰장어’ is pronounced as ‘꼼장어’ in the Gyeongsang-do dialect. The official name for ‘꼼장어’ is ‘먹장어’. ‘먹’ is a pure Korean word meaning ‘black’, and ‘먹장어’ is named after its degenerated eyes and the way it looks for food with its whisker-like antennae. The phenomenon of ‘곰장어’ being pronounced as ‘꼼장어’ is called word-initial glottalization. Since word-initial glottalization is located before the syllable, the influence of external factors is greater than that of phonological influ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ignifié of ‘먹장어’, ‘꼼장어’ and ‘곰장어’ are the same signifier. However, as Roland Barthes said, each signifier has different connotative meanings attached to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beliefs and values. Therefore, this paper seeks to argue that ‘꼼장어’ is a signifier with a different connotation from ‘곰장어’ by approaching the history and social background of food for ‘꼼장어’ from a cultural history perspective. People started eating ‘꼼장어’ in the modern era, and it started mainly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and became known throughout the country. The skin of the ‘꼼장어’ was useful, but the meat was discard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tarving Koreans survived by eating discarded meat of ‘꼼장어’. During the Korean War, hungry refugees who fled to Busan ate it. Throughout the history of Korea, there were times when the skin of ‘꼼장어’ was useful, and there were times when the meat was useful. The ‘꼼장어’ is alive and writhing. It continues to wriggle until it is completely cooked over the fire. ‘꼼장어’ shows its own resistance over fire. ‘꼼장어’ was the food of the rough and rugged common people of Busan. When people in Busan eat ‘꼼장어’, they are eating the identity of ‘꼼장어’. One identity that runs through these characteristics is ‘resistance’.

목차

1. 서론
2. 말머리 된소리 현상의 발생 원인
3. ‘꼼’장어의 문화사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도원(Do-Won Na)(羅度垣). (2023).‘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 445-462

MLA

나도원(Do-Won Na)(羅度垣). "‘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2023): 445-4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