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the Compilation of the “Korean Literary Garden” Volume : Centered around Joseon Poetry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저자명
- 노연송(Yeon-Song Noh)(魯宴松) 조신화(Xin-Hua Cao)(曹辛華)
- 간행물 정보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第85輯, 263~2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근현대 시기, 한국에서는 많은 양의 한문 시가(詩歌) 총집(總集)이 출판되었다. 그러나 한문 시가 총집은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며 많이 유실되었는데, 조소앙(趙素昻)은 한국의 문헌들을 보존하기 위해 시대별 시가 작품을 수록한 『한국문원(韓國文苑)』을 편찬하였다. 일제강점기에 그가 적극적으로 저작 활동을 한 것은 당시 식민 지배를 받던 상황 속 저항적 행위라 할 수 있었고, 그에 의해 편찬된 문헌들은 현재까지 계승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주지할 것은 조소앙의 『한국문원』에 수록된 시들이 시대순으로 작품을 수록한 것 외에는, 어떠한 규율도 발견할 수 없고, 작품을 창작한 저자의 출생, 사망 연도와 같은 정보들 또한, 규칙 없이 나열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한국문원(韓國文苑)』이 집필될 당시 저자의 의도가 주로 선조들의 작품을 보존하는 데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에 이 글은 조소앙의 저작 『한국문원』을 중심으로, 조소앙이 저작을 편찬하려 했던 의도와 그의 편찬 방식, 작품의 출처, 작가의 관점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편, 근현대 시기 한국 한시 작품을 정리한 조소앙의 저서를 분석하는 것은 과거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상흔을 입었던 한국이 과거 문학작품들을 보존하려 했던 방식을 알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문인들이 강압적 권력에 저항했던 역사를 반추하게 하고, 한국의 문화적 유산을 복구하는 과정이기에 중요한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recent times, many collections of Chinese poetry have been published in Korea. Among them, Cho So-ang, who authored “Korean Literary Garden”, is recognized for compiling poetic works from various periods. The poems included in “Korean Literary Garden” are arranged solely in chronological order, lacking any other discernible structure. Additionally, information about the birth and death years of the authors who created these works is listed without any specific rule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at the time when “Korean Literary Garden” was compiled, the focus was primarily on preserving the works of the ancestors.
This research work focuses on Cho So-ang’s “Korean Literary Garden”and aims to analyze his intentions, compilation methods, the sources of the works, and the perspective of the authors. Additionally, examining Cho So-ang’s writings on Korean classical poetry from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s provides insight into how Korea, having endur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ught to preserve literary works from the past. This serves as a significant point in reflecting on how literary figures resisted oppressive powers and engage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Korea’s cultural heritage.
목차
1. 서론
2. 『한국문원(韓國文苑)』 조선(朝鮮) 시의 편찬 체제와 특징
3. 선별된 조선(朝鮮) 시의 출처
4. 편찬 목적
5. 시학(詩學)의 가치와 의의
6.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CC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미각어 용례 연구
- 중국 동남 연해지역의 관우문화 고찰
- ‘꼼’장어의 문화사적 접근
- 經世致用 思潮의 影響을 받은 商人의 致富觀 硏究
- “中国式现代化”的理论解读与政策分析
- 중국 사천성과 중경시의 공항의 이용효율성 비교
- 辽宁省老字号品牌的植入式广告显著度和内容契合度对消费者购买意愿的影响
- 中美战略博弈及中国的应对
- 중국학(구중국어문론집) 第85輯 목차
- BCC 말뭉치에 기반한 ‘最+前面’ 구문 연구
- 现代汉语形义错配现象研究述评
- 중국어 동사의 핵심 의미 자질에 관한 고찰
- 유형론 기반 한·중 능격동사 대조 연구
- 语言模因论视域下“佛系X”流行现象分析
- 중국어 학습자의 단어 연상과 교육적 활용
- ‘绕口令’을 활용한 한국인 초급 학습자 성조 교육 효과 분석
- 『古今釋林·東韓譯語·釋親』朝鮮親戚稱呼用語淺析
- 신체어 중국어 ‘手’와 한국어 ‘손’의 의미 확장 대조 연구
- 장어(長魚) 이름의 어휘사
- 루쉰의 「묘비문(墓碣文)」
- 『한국문원(韓國文苑)』 편찬의 의의와 시학적 가치 연구
- 崇文政策과 宋詞의 興盛
- 论『月山诗话』的诗学思想
- 중멍훙(鍾孟宏) 영화에 나타난 가족서사 연구
- 한국 언론의 중국 관련 이슈 분석 연구
- 음식과 먹기의 문화와 사회학
- 论“天人合一”图样之“真”
- “双高计划”背景下广东省校企合作政策的文本研究
- 数字资本与技术主义下的中国NFT艺术
- 论中国高校基础音乐教育e-learning的发展研究
- 징진지(京津冀) 협력발전을 위한 문화전략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Cultural Integration and Innovation in Music Composition - Taking the First Movement of Bao Yuankai's Symphony No. 6 <Yanzhao> as An Example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