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혁신적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고찰
이용수 40
- 영문명
- A review of public procurement policy as an innovative policy instrument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저자명
- 이미정 김만기
- 간행물 정보
- 『정책개발연구』제23권 제2호, 369~39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혁신적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을 통한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어떤 효과를 주고 있는지, 그 도전과제는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주요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연구는 제2장에서는 혁신도구로서의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설명과, 공공조달의 전략적 활용에 대한 영향이나 효과 관련 선행연구 등을 기술하였고, 제3장은 사례조사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연구분석틀을 제시하였으며, 제4장에서는 그 도전과제로서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그간 공공조달 자체가 경제에 기여하거나 중소기업 생산성에 기여하는지 등 인과관계 및 영향요인 분석에 국한하였던 기존 연구에서 벗어나, 정책적 시각에서 공공조달정책의 혁신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동력(재원투입)의 충분성, 목표와 실행수단의 합리성, 정책적 순환 효과 등에 초점을 맞춰 비판적 검토를 하고자 한다. 이는 공공조달을 정책적 시각에서 바라본 시초적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effects and challenges of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rough public procurement as an innovative policy tool. In Chapter 2, this study explains public procurement policy as an innovation tool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impact and effect on the strategic use of public procurement, and Chapter 3 presents a research analysis framework to conduct case studies effectively. And in Chapter 4, improvement plans for the challenge were derived. This study breaks away from existing research that was limited to the analysis of causal relationships and influencing factors, such as whether public procurement itself contributes to the economy or to the productivity of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and seeks to provide a driving force (financial input) that can demonstrate the innovativeness of public procurement policy from a policy perspective.), the rationality of the goals and means of implementation, and the policy circulation effect. This is significant as an initial study that looks at public procurement from a policy perspective.
목차
Ⅰ. 서론
Ⅱ. 혁신도구로서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이론적 배경
Ⅲ. 연구분석틀
Ⅳ. 사례분석:혁신을 위한 공공조달(PPI) 사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의회의 거버넌스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노인의 삶의 질에 정주환경과 노인 정책이 미치는 영향
- 비선호시설 입지 갈등 원인과 관리 방안 분석
- 중앙-지방정부간 갈등해소를 위한 행정심판제도의 활용가능성 탐색
- 지역사회 에너지 위험인식에 대한 비교분석
- 직업 훈련기관 유형이 청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유아교육 및 보육(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통합에 대한 정책적 고찰
- 혁신적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고찰
- 디지털전환에 의한 테크노스트레스 결정요인 분석
- 과학기술규제 입법동향 분석
- 경쟁법집행에서 규제정책의 실태와 쟁점분석
- 정부 규제 수준이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건설 부문의 사망-재해 결정 요인 분석
-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 학습행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