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건설 부문의 사망-재해 결정 요인 분석
이용수 34
- 영문명
-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Fatal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Secto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저자명
- 이동훈 신재은 이수태
- 간행물 정보
- 『정책개발연구』제23권 제2호, 295~330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 건설 부문의 사망재해자수와 경제 요인 변수 간의 장기 및 단기 관계를 분석했다. 자기회귀시차모형(ARDL)을 이용하여 사망재해자수와 경제 요인 변수 사이의 장기 균형 관계를 추정하였고, 오차수정모형(VECM)을 통해 단기적인 인과관계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망재해자수와 경제적 요인 변수 사이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했다. 단기에는 GDP가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는 1.7% 증가했다. 실업률이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는 4.6% 감소했다. 떨어짐이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는 4.2% 증가했으며, 업무상 질병이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가 2%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기에는 부딪힘이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는 0.2% 증가했으며, 물체에 맞음이 10% 증가할 때 사망재해자수는 2.4%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건설 부문 사망 재해 요인들과 경제 요인 변수들 사이의 강한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사망 재해 결정 요인들에 대한 적절한 정책 및 법률 개정이 산업재해자수 저감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long-run and short-run relationships between the number of fatal accidents and economic factors in the Korean construction sector using annual time series data from 2001 to 2021. For analysis, the ARDL bound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fatalities and economic factors, and the short-run causal relationship was analyzed through the Vector Error Correcti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deaths and economic factors. In the short run, when GDP increased by 10%,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d by 1.7%. When the unemployment increased by 10%, the number of fatal accidents decreased by 4.6%. It was analyzed that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d by 4.2% when falls increased by 10%, and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d by 2% when occupational diseases increased by 10%. In the long run, when bumping increased by 10%,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d by 0.2%, and when hit by objects increased by 10%, the number of deaths increased by 2.4%. These analysis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having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tal accident factors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economic factor variables. Therefore, appropriate policies and legislative amendments on the determinants of fatal accidents will be of great help in reducing the number of industrial accident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검토
Ⅲ. 모형 및 분석방법
Ⅳ. ARDL 모형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의회의 거버넌스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노인의 삶의 질에 정주환경과 노인 정책이 미치는 영향
- 비선호시설 입지 갈등 원인과 관리 방안 분석
- 중앙-지방정부간 갈등해소를 위한 행정심판제도의 활용가능성 탐색
- 지역사회 에너지 위험인식에 대한 비교분석
- 직업 훈련기관 유형이 청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유아교육 및 보육(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통합에 대한 정책적 고찰
- 혁신적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고찰
- 디지털전환에 의한 테크노스트레스 결정요인 분석
- 과학기술규제 입법동향 분석
- 경쟁법집행에서 규제정책의 실태와 쟁점분석
- 정부 규제 수준이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건설 부문의 사망-재해 결정 요인 분석
-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 학습행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