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부 규제 수준이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35
- 영문명
- The Impact of Government Regulatory Levels on Perceptions of Fairness: A Study Targeting Residents of Gyeonggi Province
- 발행기관
- 한국정책개발학회
- 저자명
- 박진아 강상원
- 간행물 정보
- 『정책개발연구』제23권 제2호, 161~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공정(fairness)’이라는 개념의 주관적 특성(Hegvedt, 1993)과 더불어 정책의 수혜자와 피해자를 동시에 생성하는 규제정책의 특성(Lowi, 1964)으로 인해 규제정책과 정부 공정성에 대한 인식의 관계를 탐색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경기도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기초로 개개인이 느끼는 분야별 정부 규제 수준과 정부 공정성 인식 사이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규제정책에 있어서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는 분야별 정부 규제에 대한 개개인의 인식이 사회의 각 분야별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상이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정부 공정성 인식의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이 인식하는 군사규제 수준은 교육기회와 복지혜택, 과세․납세, 지역균형발전의 공정성 등 사회 여러 분야의 공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산업입지규제에 대한 부담 역시 교육기회와 지역균형발전 공정성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연구의 결과는 지역의 규제수준이 공정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제도적 환경 조성 요인으로 인식될 수 있음을 시사함과 동시에 향후 공정성 인식 제고를 위한 규제개선, 특히 군사규제와 산업입지규제의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향후 보다 세부적인 분석과 논의를 바탕으로 지역 간 규제수준 인식의 차이와 공정성 인식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할 수 있다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규제 분야와 개선방안을 도출하는 데 있어 그 방향성을 제시하는 초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government regulation in each field and individuals' perceptions of government fairness. It draws on the results of an online survey of 1,000 Gyeonggi-do residents to derive implications for regulatory policy. The analysis reveals that individual perceptions of government regulations in each field have diverse impacts on societal fairnes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level of local regul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shaping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that influences perceptions of fairness. Simultaneously, there is a need for future regulatory improvements to enhance awareness of fairness, particularly concerning military and industrial location regulations.
목차
Ⅰ. 서론
Ⅱ. 공정성 인식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자료 및 분석틀
Ⅳ. 분석결과
Ⅴ.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방의회의 거버넌스 인식 분석 및 활성화 방안
- 노인의 삶의 질에 정주환경과 노인 정책이 미치는 영향
- 비선호시설 입지 갈등 원인과 관리 방안 분석
- 중앙-지방정부간 갈등해소를 위한 행정심판제도의 활용가능성 탐색
- 지역사회 에너지 위험인식에 대한 비교분석
- 직업 훈련기관 유형이 청년 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유아교육 및 보육(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ECEC) 통합에 대한 정책적 고찰
- 혁신적 정책수단으로서 공공조달정책에 대한 고찰
- 디지털전환에 의한 테크노스트레스 결정요인 분석
- 과학기술규제 입법동향 분석
- 경쟁법집행에서 규제정책의 실태와 쟁점분석
- 정부 규제 수준이 공정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건설 부문의 사망-재해 결정 요인 분석
- 공공조직 구성원들의 자발적 학습행동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