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이용수 184
- 영문명
-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towards Computer-Based National Exa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경 하지완 이현정 최성희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884~89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최근 보건의료인국가시험의 시험 방식 변화에 따라 컴퓨터 기반 시험이 도입될 예정이다. 본 연구는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시험을 앞두고 개발된 새로운 문항 유형을 포함한 모의고사 실시 후 컴퓨터 기반 시험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여 언어재활사 국가시험의 효율적인 운영 기반을 마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방법: 최근 3년 이내에 언어재활사 국가시험에 응시하여 합격한 총 98명(남 11명, 여 87명)이 모의고사에 참여하였으며, 모의고사 후 75명(남 10명, 여 65명)이 응답하였다. 결과: 언어재활사 국가시험의 CBT 도입 필요성에 대해 ‘필요하다’로 인식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58.7%), 문제 풀이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필 시험에 비해 컴퓨터 시험이 ‘더 많이 소요되지 않는다’ (46.7%)가 가장 많았다. 컴퓨터 시험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 (49.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CBT의 편리성에 대해서는 지필 시험에 비해 ‘편리하다’ (41.3%), ‘편리하지 않다’ (41.3%)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임상 상황을 실제와 유사하게 구현함으로써 응시자의 문제해결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73.3%)하는 것을 컴퓨터 시험의 가장 큰 장점으로 인식하였다. 반면, 계산 시 불편함(62.7%)을 가장 큰 단점으로 인식하였다. 논의 및 결론: 언어재활사들은 컴퓨터 시험 전환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시험 방식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컴퓨터 작동 시 불편함, 시험 방식이 익숙하지 않음이 여전히 컴퓨터 시험의 어려운 점으로 인식하였다. 따라서, 컴퓨터 시험 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시험 방식에 대한 안내와 기술적 안정성을 확보하여 언어재활사 컴퓨터 국가시험의 체계적 구축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ption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mputer-based examination after conducting a computer-based examination including a new question type developed in advance of the CBT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o lay the foundation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Methods: A total of 98 participants (11 males, 87 females) who had taken and passe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ithin the last 3 years participated in the current examination, and 75 (10 males and 65 females) applicants completed the survey following the examination. Results: Regarding the need to introduce CBT i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most common perception was ‘necessary’ (58.7%), and the most common perception was ‘not more time-consuming’ (46.7%) for the computer test compared to the paper test. Satisfaction with the CBT was most likely to be ‘satisfied’ (49.3%), and the convenience of the CBT was equally split between ‘convenient’ (41.3%) and ‘not convenient’ (41.3%) compared to the paper test.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applicant’s problem-solving skills by simulating realistic clinical situations (73.3%) was perceived as the biggest advantage of the CBT. On the other hand, inconvenience in calculations (62.7%) was perceived as the main disadvantage. Conclusio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perceived the transition to CBT positively and were satisfied with the testing method. However, discomfort in operating the computer and unfamiliarity with the test method were still perceived as difficulties in the CBT. Overall,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on the test method and ensure technical stability so that the CBT for speech-language pathologists can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