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이용수 156
- 영문명
- In an EFL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s English Articulation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지영 하지완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837~84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말소리장애아동은 이들이 가진 모국어 결함으로 인해 영어와 같은 외국어 학습 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한국에서 영어는 학령기 아동에게 필수적인 외국어인 만큼 본 연구에서는 말소리장애아동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을 알아보고 구체적으로 모국어 오류에 대한 전이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영어교육 경험이 있는 만 4-6세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영어 단어 따라 말하기를 실시하여 전체 자음정확도, 오류유형 및 오류패턴을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말소리장애 집단의 한국어 단어 따라 말하기 수행력을 분석하여 SSD 집단 내에서 언어종류에 따른 말 산출 특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SSD 집단은 NSA 집단에 비해 낮은 영어 자음정확도를 보였다. 오류유형 결과, 두 집단은 모음첨가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음첨가 양상에서 다소 차이를 보였다. 오류패턴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발달적 오류패턴의 비율이 높았으며, 폐쇄음화와 종성자음생략이 빈번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말소리장애아동이 가진 모국어 결함이 영어 산출에 전이되는 양상을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표면적 오류와 더불어 기저 결함이 영어 말 산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an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nvironment like Korea, individuals learn English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naturally influenced by the language system of the mother tongu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nglish speech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of native language transfer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Methods: 20 Korean children aged 4-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divided participants into SSD and normal speech acquisition (NSA) groups, each comprising 10 children. Participants completed English word repetition task using the Diagnostic Evaluation of Articulation and Phonology (DEAP). Additionally, the SSD group was assessed using the Urimal Test of Articulation & Phonology (U-TAP) to compare differences in speech production based on language types. In both groups, the overall consonant accuracy, error types an error patterns in English were analyzed. English error types were categorized as substitution, vowel addition, consonant addition, vowel deletion, consonant deletion, inter-language distortion and intra-language distortion. Error patterns were further divided into developmental and non-developmental error patterns. Results: The SSD group demonstrated lower consonant accuracy compared to the NSA group in English articul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vowel deletion rates and minor variations in consonant addition patterns. Error pattern analysis revealed that both groups exhibited a high proportion of stopping and final consonant deletion. Conclusion: This study directly confirmed the transfer of native language deficits in children with SSD to their English articulation and indirectly suggested that underlying deficits might impact English speech produc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