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이용수 16

영문명
Correlations among Tip of the Tongue Phenomenon, Common Noun Naming and Memory in Healthy Elderly Adults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최현주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805~816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목표단어를 알고 있다고 느끼지만 단어의 이름을 생각해낼 수 없는 상태인 ‘설단현상’의 발생 빈도는 노화에 따라 증가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주관적, 객관적 기억능력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일반명사 이름대기능력과 주관적, 객관적 기억능력이 설단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일반 노인 88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과제로는 설단현상 과제(유명인 이름대기 검사), 일반명사 이름대기 과제(대면이름대기, 생성이름대기), 주관적, 객관적 기억능력 과제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대면이름대기의 정반응률, 생성이름대기의 의미범주, 음소범주의 수행과 설단율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자발적 설단해결률은 일반명사 이름대기의 모든 수행과 유의하지 않았으며, 음절단서 후 설단해결률은 대면이름대기 정반응률 및 음절단서 제시 후 정반응률, 생성이름대기 음소범주의 수행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주관적, 객관적 기억능력의 모든 항목과 설단율 사이의 상관이 유의하였다. 넷째, 자발적 설단해결률은 객관적 기억능력의 지연회상 영역과, 음절단서 제시 후 설단해결률은 주관적 기억능력과의 상관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회귀분석 결과 대면이름대기와 지연회상, 재인능력이 설단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반 노인의 설단율 및 설단해결률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주관적, 객관적 기억능력 사이의 관련성을 다각도로 살펴보았다는 데 임상적 의의를 가진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frequency of the ‘tip of the tongue (TOT) phenomenon’, a condition in which a person feels they know a target word but cannot recall its name, increases with 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 phenomenon, common noun naming, and memory. Methods: Eighty-eight healthy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y used a TOT phenomenon task (celebrity naming test), common noun naming tasks (confrontational naming and generative naming), and subjective and objective memory tasks.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total score of the confrontation naming test, the performances of generative naming test, and the TOT rate. Second, the voluntary TOT solution rate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erformance on the common noun naming test. However, the TOT solution rate after syllable cue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performance of the confrontation naming test, the correct response rate after syllabic cues, and the phonemic category of the generative naming test. Third, the performances of subjective and objective memor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OT rate. Fourth, the voluntary TOT solution rate was correlated with the delayed recall of objective memory, while the TOT solution rate after syllable cues was on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memory. Finally,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confrontation naming, delayed recall, and recognition influenced the TOT rate. Conclusion: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 TOT phenomenon, common noun naming, and memory in healthy elderly adult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현주. (2023).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4), 805-816

MLA

최현주.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4(2023): 805-8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