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54

영문명
The Relationship of Text Inference Abilitie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임지민 전지혜 김영태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33~748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초등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응집성 처리, 상위언어, 마음이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텍스트 추론 능력이 읽기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는지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2-3학년에 재학 중이며 수용어휘 능력과 비언어성 지능을 일치시킨 고기능 자폐 아동 15명, 일반 아동 15명, 총 30명을 대상으로 읽기이해, 응집성 처리, 상위언어, 마음이론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집단 간 읽기이해 과제 정반응률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세 가지 텍스트 추론 유형에 따른 집단 간 차이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일반 아동 집단은 세 가지 텍스트 추론 능력 모두 읽기이해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고기능 자폐 아동 집단의 경우 응집성 처리, 상위언어 과제는 읽기이해 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나, 마음이론 과제와 읽기이해 능력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두 집단의 읽기이해 능력은 응집성 처리 과제가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논의 및 결론: 초등학교 저학년 고기능 자폐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해 낮은 읽기이해, 텍스트 추론 능력을 보였다. 따라서 읽기이해의 어려움 완화를 위해서는 읽기이해 능력을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인 응집성 처리에 대한 지원이 선행될 필요성이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Reading comprehension in school-age children is an essential ability facilitates acquisition of information from general education. Yet, even with average or above cognitive and word recognition abilities,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 (HF-ASD) demonstrate difficulties with reading comprehension.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identifying the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e with a focus on text inference abilities (coherence processing, metalinguistic, theory of mind) in children with HF-ASD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Methods: 15 HF-ASD and 15 age matched typically developing peers (T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reading comprehension tasks and text inferencing tasks (coherence processing, metalinguistic, theory of mind). Results: First, the reading comprehension accuracy of the HF-AS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TD group. Second, the text inference accuracy of the HF-AS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e TD group. Third, in the TD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text inference abilities (coherence processing, metalinguistic, theory of mind) and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e. In contrast, in the HF-ASD group,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herence processing, metalinguistic and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e; however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ory of mind and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e. Finally, the coherence processing task predicted reading comprehension competence of children with HF-ASD by 52.2% and TD children by 42.1%.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supporting connecting information within a text, local inferencing, and focusing on the coherence processing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reading comprehension of children with HF-ASD in the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지민,전지혜,김영태. (2023).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4), 733-748

MLA

임지민,전지혜,김영태.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4(2023): 733-7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