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이용수 97
- 영문명
- Exploring the Utility of Narrativ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to Identify Vocabulary Delay Using Eye-Tracker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양윤희 임동선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18~732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과제 수행의 다양한 측면(이해, 산출, 이야기 과제 수행 시의 시선추적변수)에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거시적 측면에서의 이야기 변수들을 통해 미시적인 어휘상의 어려움(어휘발달지연)을 탐지해낼 수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2학년 아동(일반 아동 101명, 어휘발달지연 아동 2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이야기 이해, 산출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읽기’ 조건을 포함한 두 조건(‘듣기+읽기’, ‘읽기’)에서는 시선추적변수를 추출하였다. 결과: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 시 ‘듣기+읽기’ 조건, 이야기 산출 과제 수행에서는 ‘구성’ 조건, 시선추적변수에서 ‘전체 시선 고정 시간’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야기 과제 수행 변수들을 통해 어휘발달지연을 잘 판별해낼 수 있는지 살펴본 결과, 표준화 어휘 검사를 기반으로 한 원 집단 케이스 중 총 79.6%가 이야기 과제 수행 변수들로 올바르게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C 분석을 통해서도 이야기 ‘듣기+읽기’ 조건의 이해 점수, 이야기 ‘구성’ 조건의 산출 점수, 그리고 ‘듣기+읽기’ 조건의 전체 시선 고정 시간의 조합으로 84.6%의 아동이 타당하게 판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이야기 과제들을 통한 어휘발달지연의 확인 시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가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narrative tasks performance (comprehension, production, and eye-tracking variables) and finally to explore whether narrative tasks can be used to detect vocabulary delay. Methods: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TD=101, VD=22)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children participated in story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and eye-tracking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two reading conditions (‘listening+ reading’, and ‘reading’)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the ‘construction’ condition in the story production task, and the ‘total fixation duration (TFD)’ in the eye-tracking variables. We examined the ability of the story performances to discriminate vocabulary delays, and found that a total of 79.6% of the original cases based on th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could be correctly classified by the story performance variables. The ROC curve also showed that 84.6% of the children could be validly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narrative comprehension scores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narrative production scores in the ‘structure’ condition, and TFD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of comprehension task.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narrative tasks a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micro-level vocabulary delay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