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이용수 12

영문명
Exploring the Utility of Narrative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to Identify Vocabulary Delay Using Eye-Tracker
발행기관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저자명
양윤희 임동선
간행물 정보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18~732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이야기 과제 수행의 다양한 측면(이해, 산출, 이야기 과제 수행 시의 시선추적변수)에서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고, 최종적으로 거시적 측면에서의 이야기 변수들을 통해 미시적인 어휘상의 어려움(어휘발달지연)을 탐지해낼 수 있는지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2학년 아동(일반 아동 101명, 어휘발달지연 아동 2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아동은 이야기 이해, 산출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이야기 이해 과제에서 ‘읽기’ 조건을 포함한 두 조건(‘듣기+읽기’, ‘읽기’)에서는 시선추적변수를 추출하였다. 결과: 이야기 이해 과제 수행 시 ‘듣기+읽기’ 조건, 이야기 산출 과제 수행에서는 ‘구성’ 조건, 시선추적변수에서 ‘전체 시선 고정 시간’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야기 과제 수행 변수들을 통해 어휘발달지연을 잘 판별해낼 수 있는지 살펴본 결과, 표준화 어휘 검사를 기반으로 한 원 집단 케이스 중 총 79.6%가 이야기 과제 수행 변수들로 올바르게 분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ROC 분석을 통해서도 이야기 ‘듣기+읽기’ 조건의 이해 점수, 이야기 ‘구성’ 조건의 산출 점수, 그리고 ‘듣기+읽기’ 조건의 전체 시선 고정 시간의 조합으로 84.6%의 아동이 타당하게 판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이야기 과제들을 통한 어휘발달지연의 확인 시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가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 데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roup differences in various aspects of narrative tasks performance (comprehension, production, and eye-tracking variables) and finally to explore whether narrative tasks can be used to detect vocabulary delay. Methods: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TD=101, VD=22) of elementary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children participated in story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tasks, and eye-tracking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two reading conditions (‘listening+ reading’, and ‘reading’)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in the story comprehension task, the ‘construction’ condition in the story production task, and the ‘total fixation duration (TFD)’ in the eye-tracking variables. We examined the ability of the story performances to discriminate vocabulary delays, and found that a total of 79.6% of the original cases based on th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could be correctly classified by the story performance variables. The ROC curve also showed that 84.6% of the children could be validly identified by a combination of narrative comprehension scores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narrative production scores in the ‘structure’ condition, and TFD in the ‘listening+reading’ condition of comprehension task.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explored the possibility of using narrative tasks as a useful tool for identifying micro-level vocabulary delay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윤희,임동선. (2023).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 (4), 718-732

MLA

양윤희,임동선.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8.4(2023): 718-7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