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이용수 368
- 영문명
- ADHD Symptoms and Literacy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은주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76~790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증상은 읽기와 쓰기 문해발달과 관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는 한국 아동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대상자들을 ADHD 임상진단 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ADHD와 읽기 및 쓰기능력의 관계 변화를 살펴보았다. 방법: 한국아동패널연구(PSKC) 전체 참여 대상자 2,150명이 초등학교 재학 기간인 8차(1학년), 9차(2학년), 10차(3학년), 12차(5학년) 연구에서 평가한 네 가지 측정변수(다면적 지능검사,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읽기 및 쓰기능력 평가)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K-CBCL 6-18)의 ADHD DSM 임상기준 점수에 의해 ADHD 집단을 구분하여, 읽기 및 쓰기능력 결과에 대해 반복측정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ADHD 집단은 일반 대상자들보다 읽기와 쓰기 학업 수행 수준이 낮았고 읽기보다는 쓰기에 좀 더 어려움을 보였다. ADHD 집단에 따른 읽기와 쓰기 학습 수행 수준 변화에서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ADHD를 동반하는 읽기장애에 대한 연구가 아직 언어치료의 경우는 매우 희박하다. ADHD 집단은 행동문제에 대한 치료 접근과 함께 언어학습 중재가 필요한 대상자들이 많은 편이다. 그러므로 언어재활 현장에서 말소리와 언어발달 문제 동반율이 높은 ADHD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학령기 언어학습장애 대상자 특성과 ADHD와 읽기문제 동반장애의 세부 특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DHD clinical diagnosis criteria using Korean Children’s Panel dat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DHD and reading and writing ability was examined. Methods: The results of four measurement variables (multiple intelligence test,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reading and writing ability evaluation) evaluated in the 8th (1st grade), 9th (2nd grade), 10th (3rd grade), and 12th (5th grade) studies during elementary school were used; for a total of 2,150 participants. In the analysis, the ADHD group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ADHD DSM clinical standard score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6-18), and repeated measurement and cross-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results of the reading and writing ability evaluation. Results: The ADHD Present group had lower levels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y than ADHD Absent group. Furthermore, it was more difficult to write than to read. There was no interaction in the change in the level of reading and writing ability according to the ADHD group. Conclusion: It may be more desirable for the ADHD Present group to be given language intervention along with treatment access to behavioral problems. However, studies on reading disorders with comorbidity of ADHD are still very rare in the field of speech-language therapy.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speech and language development problems and ADHD, research is needed to further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age language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detailed characteristics of companion disabilit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