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이용수 90
- 영문명
- Differences in Development of Activities, Participation during School Age (1st to 4th grade) According to Speech Sound Ability in Pre-school Age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서은영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49~76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고 초등학교에 진입하는 시점인 1학년부터 고학년이 되는 시기인 4학년까지 수행해야 할 활동, 참여의 발달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종단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육아정책연구소 한국아동패널에 포함된 7차년도(2014년, 6세)-11차년도(2018년, 10세)에 수집한 종단 연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7차년도의 발화검사 결과에 따라 세 집단(일반 집단, 경도 말소리장애 집단, 중도 말소리장애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활동, 참여는 학습과 지식적용, 대인 상호작용과 대인관계, 주요생활영역으로 구성되며 각 문항에 아동을 담당하는 교사가 평정한 결과를 사용하였다. 결과: 학습과 지식 적용, 대인상호작용과 대인관계, 주요생활영역에서 일반 집단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학습과 지식적용, 주요생활영역에서 일반 집단은 말소리장애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말소리장애 아동은 문해 기술, 수학적 연산능력, 주의력과 같은 기술을 학습하는데 필요한 행동과 관련된 영역뿐 아니라 학교 교육에서 요구되는 활동과 관련된 영역에서도 어려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현장에서도 말소리장애 아동의 말소리 산출뿐 아니라 이후 보일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문제를 보일 수 있는 영역을 확인하고 중재 계획에 포함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divided groups according to speech sound ability in the pre-school age and longitudinally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patterns of activities from 1st grade to 4th grade. Methods: Longitudinal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the 7th to 11th year included in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 (PSKC) were us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ypically developing (TD), mild Speech Sound Disorder (SSD), and moderate SS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hree Sentence Screening Test’ in the 7th year. Activities, participation are comprised of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major life. A rating score based on the evaluation of each question by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child was used. Results: The average score of the TD group was high in all areas. The SSD group was found to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TD in learning and applying knowledge, major life. Conclusio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how difficulties not only learning skills such as literacy, mathematics, and attention, but also activities required for school education. In a clinical setting, areas that may present problems should be identified and included in the intervention plan in order to minimize not only speech problems but also related problem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