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이용수 102
- 영문명
-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Using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하승희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828~836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구개열 아동을 위한 언어 환경 분석기(LENA)를 이용한 조기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고, LENA 자동 분석치가 중재 효과를 반영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3명의 구개열 아동과 부모가 조기 중재 프로그램, 사전 및 사후 평가에 참여하였다. 12명의 구개열 아동과 부모는 통제 집단으로 사전 및 사후 평가에만 참여였다. 중재 집단은 부모가 5회기의 직접적인 훈련을 받으면서 3개월간 가정에서 조기 중재를 실시하였다. 사전 및 사후 평가와 모든 훈련 회기를 마칠 때 마다 하루 동안 가정에서 LENA 녹음을 실시하여 LENA 자동 분석치를 구하였다. 아동의 언어 환경을 반영하는 LENA 자동 분석치를 훈련 회기 동안 살펴보면서 언어 자극과 상호 작용 기술을 학습하였다. 결과: 중재 집단에 아동은 조기 중재를 받은 후에 표현 어휘와 자음 목록 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훈련을 받은 부모는 통제 집단의 부모가 비교해서 모방, 확장, 수정과 같은 아동 발화에 적절한 반응을 보이는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중재 집단은 LENA 자동 분석치 중에서 차례 주고 받기 수(CTC)와 아동 발성 수(CVC)면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는 LENA를 이용하여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LENA 측정치는 아동의 말-언어 발달과 부모의 의사소통 행동상의 긍정적인 변화를 반영하면서 조기 중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left palate using the Language ENvironment Analysis (LENA), and to investigate whether LENA’s automated measures reflect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Methods: Thirteen children with cleft palate (CP)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d in all sessions of an early intervention program. Twelve children with CP and their parents were involved as a control group, participating only in pre- and post-intervention assessments. The intervention included five direct training sessions and interventions implemented by parents at home for 3 months. As part of the training, parents were instructed to record a one-day LENA recording before and after the assessments and during each session of direct training. During these sessions, parents reviewed their language stimulation and interaction skills, analyzing the results of automated LENA measures reflecting the language environment. Results: Children in the intervention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greater change in expressive vocabulary size and consonant inventory after the intervention. Parents who received training exhibited significantly increased contingent utterances, such as imitation, expansion, and recast, in response to their children’s communication acts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receive the training. Children who received early intervention exhibit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nversation turn counts and child vocalization counts, as measured by automated LENA measures. Conclusion: The results support that using LENA technology can improve early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P. LENA measures can monitor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speech-language development and parents’ us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 노인의 설단현상과 일반명사 이름대기 및 기억능력의 상관
- 언어 환경 분석기를 이용한 구개열 아동을 위한 조기 중재
- 말소리장애아동과 일반아동 간 외국어로서의 영어 말소리 산출 특성
- 동시적 양측 인공와우이식 영유아의 발성 유형에 따른 부모의 구어 반응 특성
- 한국어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K-ALAS) 신뢰도 연구
- 언어재활사 컴퓨터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 조사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및 일반 아동의 언어 능력과 인지 능력이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영향
- 시선추적기를 활용한 이야기 이해 및 산출 과제의 어휘발달지연 판별 효용성 탐색
- 학령전기 말소리 산출 능력에 따른 학령기(초등학교 1-4학년) 활동, 참여 발달 차이
- 동사 유창성 과제에서 시간대에 따른 청년층 및 노년층 간 정서가(Emotional Valence) 비교
- 고기능 자폐 아동의 텍스트 추론 능력과 읽기이해 능력 간의 관계
- 말소리장애와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동반 여부에 따른 언어 및 문해 능력 차이
- ADHD 증상과 읽기 및 쓰기 특성
- 말 늦은 아동의 구어 모방 능력
- 인공와우이식 영유아 어머니의 아동지향어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