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이용수 147
- 영문명
- Trends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on Secondary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주희 박은수 임경원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305~337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등 특수교육 분야에서 수행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등 특수교육 분야에서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까지 발표된 중등 특수교육 분야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논문 총 32편을 선정하였고, 전반적인 연구의 동향과 연구방법론적 동향 및 반 매넌의 실존체 개념에 따른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시도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특수교육 분야의 연구참여자는 주로 학부모, 교사였고, 분석 논문 전체에서 주요어로 ‘체험’이 드러났으며, 면담을 주요 자료 수집 방법으로 활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반 매넌의 네 가지 실존체 개념, ‘신체성’, ‘관계성’, ‘공간성’, ‘시간성’으로 해석학적 현상학적 반성을 시도한 결과를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중등 특수교육 분야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방향과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by analyzing trends in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conducted in the field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2 phenomenological papers related to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ublished by May 2023 were selected. The selected study were attempted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ccording to overall research trends, research methodological trends, and Van Manen’s concept of exist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field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mainly parents and teachers, that ‘lived experience’ was the key word throughout the analysis study, and that interviews were us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In addition, the results of hermeneutical phenomenological reflection were presented using Van Manen’s four concepts of existence, ‘body,’ ‘relation,’ ‘space,’ and ‘time’. Using the results,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were discussed.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