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01
- 영문명
-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s Autoethnography on the Teaching Experience of Elementary Dyslexic Learners: Focusing on Elementary English Subject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윤정 김영아 이동성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145~1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초등난독학습자 대상 영어 교수경험을 자문화기술지로 서술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로서 나는 초등난독학습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인지치료학습상담사와 질적 연구자 사이의 유사한 정체성을 발견하였다. 둘째, 연구자로서 나는 두 초등난독학습자들을 가르치면서 난독증을 학습장애로 평가하는 것을 유보하였다. 셋째, 인지치료학습상담사로서 나는 초등난독학습자들에게 영어를 가르치기 위해 질적 연구자의 태도와 방법으로 조기 지도 방법을 찾아 나섰다. 넷째,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이자 질적 연구자로서 나는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면서 실천적 지식과 교수 전문성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영어과 교수경험을 조명함으로써 난독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을 예시하고, 초등난독학습자들의 영어 학습을 돕기 위한 경험적 자료로써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describe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s experience teaching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dyslexic learners through autoethnography.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ly, as a researcher, I discovered similar identities as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 and a qualitative researcher in the process of teaching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dyslexic learners. Secondly, as a researcher, I held off evaluating dyslexia as a learning disability while teaching two elementary school dyslexic learners.. Thirdly, as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 I set out to find early intervention methods using the attitude and methods of a qualitative researcher to teach English to elementary school dyslexic learners. Fourthly, as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 and qualitative researcher, I developed practical knowledge and teaching expertise while stimulating learners’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will exemplif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dyslexic learners by illuminating the teaching experience of a cognitive therapy learning counselor, and will contribute as empirical data to help elementary dyslexic learners learn English.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맥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