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이용수 113
- 영문명
- Critical Learning Experience on the Fatherhood Ideology of an Unmarried Man in MZ generation: How did I come to pursue the New Fatherhood?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김재윤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95~1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미혼인 MZ세대 남성들의 부성 학습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돕는 것에 목적이 있다.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이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어떠한 과정으로 전개되었는지, 더 나아가 청년 남성을 중심으로 한 부성 이데올로기의 전환이 미시적 차원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해 전환학습 이론과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MZ세대 미혼 남성이 부성 이데올로기를 전환하는 과정은 부성 이데올로기 경험에 대한 비판적 자기 성찰을 통해 의미 도식과 의미 관점을 전환하고,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부성에 관한 자기 지식을 획득하는 전환학습으로 설명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 연구들이 놓쳐왔던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학습경험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부성 연구의 저변을 넓히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아버지 됨 직전의 위치성을 가진 젊은 세대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이해하는 경험적인 기초자료로서의 의미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unmarried men in the MZ generation understand in-depth the fatherhood learning of unmarried young man by examining the critical learning experience of fatherhood ideology. It analyzed and interpreted the process of critical learning on fatherhood ideology of unmarried men of the MZ generation in a socio-cultural context, and furthermore, how the transformation of fatherhood ideology centered on young men appears at a microscopic level through transformative learning theory and autoethnograph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atherhood ideology by unmarried men in the MZ generation can be explained as the transformative learning that changed meaning schematics and semantic perspectives through critical self-reflection on the experience of fatherhood ideology and acquired self-knowledge of fatherhoo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xpanding the base of fatherhood research by exploring in-depth the learning experiences of unmarried men in the young generation, which previous studies have missed.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as an empirical basic data to understand the change in perception of fatherhood ideology of the young generation, which has the position just before becoming a father.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