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110
- 영문명
- A Narrative Study on the Choice Experie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Integrated Education to Separated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윤희 양명희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어머니를 통해 장애학생의 삶에서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 옮긴 경험에 대한 이야기이다. 통합교육의 시작과 중단, 그리고 분리교육에서의 새로운 시작을 어떻게 경험하였는지 살펴보고 그들의 삶의 이야기에서 그 경험들의 의미가 어떠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발달장애학생이 입학할 때 가까운 학교에 가고자 해도 1명을 위해 특수학급을 설치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입학거부가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학생의 부모가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전학을 결정함에 있어 교사는 매우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셋째, 무발화 발달장애학생의 어머니는 자녀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는 정보가 없기 때문에 불안을 느끼며, 안전을 위해 전학을 선택하기도 하였다. 넷째, 특수교육만의 교육과정이 없고 일반교육을 따라가는 형태로 장애학생의 특수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았다. 다섯째, 특수학교는 장애학생을 위한 공간이라는 정당성 때문에 마음이 편하다는 것이다. 통합학급의 비장애학생들 사이에서 장애학생은 너무 튀어보였고 타인에게 피해를 주는 듯 보였다. 이는 참여자들에게 보통의 학부모로서 해야 하는 역할보다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게 하였고 참여자 본인보다는 장애학생의 엄마라는 이름으로 삶을 살게 하였다. 거부로부터 경험하는 정서를 누구에게도 표현하지 못하고 위로 받지 못한 채 스스로 분리됨을 선택하였고 개인적으로 고립되었다. 여섯째, 발달장애인은 장애가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공감이 가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식위주의 학교 분위기로 인하여 비장애학생들이 저학년 때와는 달리 고학년이 될수록 더욱 더 부정적인 태도로 바뀌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the experience of transitioning from integrated education to separate education in the lif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mother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intended to examine how they experienced the beginning, interruption, and new beginnings of integrated education in separate education, and to find out what those experiences mean in their life stories. First, whe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tered the school, they were denied admission because they could not provide a special class for one person even if they wanted to go to a nearby school. Second, teachers had a very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cis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ransfer from integrated education to separate education. Third, the mother of a developmentally disabled student who could not speak felt anxious because she did not have the information she could receive from her children and chose to transfer for safety. Fourth, there is no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and the special need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not been satisfied in the form of following general education. Fifth, special schools are comfortable because of the legitimacy of being a spac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non-disabled students in the integrated class, students with disabilities seemed to be too prominent and damaging to others.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paid more attention and effort than they should as ordinary parents, and they lived under the name of the mother of a disabled student, not themselves. She chose to separate herself without expressing the feelings she experienced because she was not rejected and consoled, and was personally isolated. Sixth, people cannot empathize becaus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not visible on the outside. Due to the knowledge-oriented school atmosphere, non-disabled students changed to a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disabled students as they became seniors, unlike in the lower 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무엇이 ‘분리’를 선택하게 했는가.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