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이용수 291
- 영문명
- Spousal Caregiving Experiences of Elderly Family Care Worker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최미선 김서현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57~93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수행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배우자를 돌보고 있는 노인 가족요양보호사 7명을 의도적 표집 및 눈덩이 표집을 통하여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고, 평균 2회 이상의 면담으로 자료를 수집한 후 Giorgi(1985)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방식으로 그 내용과 의미를 분석했다. 그 결과 219개의 의미 단위, 58개의 중심 의미, 16개의 드러난 주제를 찾았으며, 상호 관련성을 재검토하여 4개의 본질적 주제를 발견했다. 본질적 주제는 ‘미우나 고우나 내 배우자’, ‘끝이 보이지 않는 돌봄 터널’, ‘가족요양보호사라는 노년의 도전과 성취’, ‘가족요양보호사를 내 안에 담을수록 완숙되는 배우자 돌봄 여정’인 것으로 밝혀졌다. 중심 주제는 ‘우리 집에서 내 손으로 배우자 보듬으며 영그는 황혼’과 같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 가족요양보호사가 배우자 돌봄을 안정적으로 실천하도록 제도적인 뒷받침을 비롯하여 경제·정서적 지원이 필요함을 사회복지 임상 및 정책 차원에서 제언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spousal caregiving experiences among elderly family care workers in depth. To achieve this, seven elderly family care workers who were taking care of their spouse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through purposive and snowball sampling methods. Data were collected in an average of two or more interviews, and spousal caregiving experiences were analyzed for content and meaning using Giorgi (1985)’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he results showed 219 meaning units, 58 focal meanings, and 16 emerging themes, and we identified 4 essential themes by reviewing their correlations. The them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It is my spouse, whether you hate it or love it,’ ‘A tunnel with no end in sight for caregiving,’ ‘Challenges and achievements as an elderly family care worker,’ and ‘A journey of spousal caregiving, which becomes more mature as I embrace myself as an elderly family care worker,’ The central theme was ‘Tending to my spouse with my own hands at home while the twilight fad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lderly family care workers need institutional, financial, and emotional support to ensure they can provide spousal caregiving in a stable manner at the clinical and policy levels of social welfare.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국가 차원 인재양성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국가인재양성기본법」 제정 방안
- 고교 성취평가제 도입의 공공가치 분석: Bozeman의 공공가치 실패 모형을 중심으로
-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의 헌법 편입과 제도화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