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52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Clients’ Experiences in Counseling Process : Focused on Therapeutic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이정인 박승민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171~207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는 어떠한 치료적 경험을 하는가?’에 대한 질적 연구물들의 연구결과를 검토함으로써, 상담의 치료적 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 국내 KCI 등재지에 게재된 논문들 중 내담자 경험을 연구한 질적연구물 76편을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내담자들은 상담 과정에서 자기에 대한 깊은 통찰, 상담자와의 새로운 관계 경험, 받아들임, 정서적 소용돌이, 실제 해보기 등의 영역에서 중요한 경험을 하였다’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각 경험의 영역별로 도출된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영역으로 문제 꺼내기, 패턴 바라보기, 시선 바꾸기, 나를 마주하기가 도출되었고, 두 번째 영역에는 상담자와의 친밀감 획득, 신뢰 형성이 포함되었다. 세 번째 영역에는 자기 받아들이기, 받아들여짐, 타인 받아들이기, 네 번째 영역에는 상담(자)에 대한 감정 경험, 강렬한 감정 표출, 감정 표출 이후의 변화 경험 등이 포함되었다. 다섯 번째 영역으로는 상담실에서의 새로운 시도, 숙제하기, 행동하기 등이 도출되었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자-내담자 관계에서 내담자가 경험하는 것으로 종합된 치료적 요인들이 상담 실제와 연구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understand the therapeutic factors of counseling through review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about ‘What does the client therapeutic experience in counseling?’. To this,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seventy-six researches published in Korean Citation Index(KCI) journals from 2001 to 2021. As a results, the clients had important experiences of ‘deep insight into myself, new relationship with counselor, acceptance, emotional explosion, and try it out’ in counseling. Each experience domains were as follows. First domain included ‘bring up problem’, ‘confirming pattern’, ‘changing perspective’, and ‘face myself’. Second domain included ‘build a rapport’, ‘build trust’. In third domain, ‘self-acceptance’, ‘accepted by counselor’, and ‘accepting others’ were included. Fourth domain included ‘emotions about counselor(or counseling)’,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 after expression’. In fifth domain, ‘new attempts in counseling’, ‘performed tasks’, and ‘behavioral change’ were includ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search were discussed by identifying therapeutic factors from the client’s point of view in the counselor-client relationship.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