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49
- 영문명
- Autoethnography of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 발행기관
- 한국질적탐구학회
- 저자명
- 조재성
- 간행물 정보
- 『질적탐구』제9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폐성장애 아동을 수년간 가르쳤던 연구자인 ‘나’의 경험을 대상으로 한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초등학교 담임 교사가 통합학급에서 아이들을 가르친 경험의 내용과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자료 수집과 분석 결과 나타난 경험의 내용은 크게 수업, 생활 지도,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로 나누어졌다. 수업 측면에서는 특수교육 전문성의 부족, 통합교육의 본질의 혼란 등이 발견되었고, 생활 측면에서는 다양한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집중적인 행동 형성 방법을 적용하여 자폐성장애 아동을 학급에 적응시키는 경험이 드러났다.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 측면에서는 하나의 목표를 두고 서로 협업하고 있으면서도 미묘한 긴장과 불일치가 나타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경험의 내용들은 세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었는데, 그것은 초등학교 내에서 자폐성장애 아동을 위한 통합교육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다는 점, 통합교육을 운영하는 체제 간에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점, 그리고 자폐성장애 아동의 통합교육 가능성이 나타난 점이었다. 이에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을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 and meanings of a homeroom teacher’s experiences with teaching students in an inclusive class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utoethnography of the investigator’s experiences of teach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for many yea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ollected data, the content of experiences was mainly divided into lessons, life guidance, and relations with people around. In the aspect of lessons, there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ism in special education and the confusion over the essence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aspect of life, the teacher had experiences of helping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adjust to the class by applying a repeated and focused behavior 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assistance of various people around her. In the aspect of relations with people around, the teacher had subtle tension and disagreement even amid cooperation with people around her under a single goal. These experiences held three meanings: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was not clear in elementary school; there was no effective communication and support between the different systems providing inclusive education; and there were possibilities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the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전직 초등교사의 기억
Ⅱ. 연구방법: 자문화기술지
Ⅲ. 연구 결과: 한 초등학교 교사의 이야기
Ⅳ. 결론 및 논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의 의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독거노인의 집단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교사의 성장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상담 과정에서의 내담자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비장애 형제자매로서의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MZ세대 미혼 남성의 부성 이데올로기에 관한 비판적 학습 경험
- 노인 가족요양보호사의 배우자 돌봄 경험
- 발달장애학생 학부모의 통합교육에서 분리교육으로의 추구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초등학교 교사의 자폐성장애 아동 지도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 중등 특수교육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 동향
- 한국전쟁으로 실향한 여성노인의 장소상실에 관한 생애사 연구
- 인지치료학습상담사의 난독학습자 교수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질적탐구 제9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업중단 위기 고등학생의 학업중단 예방을 위한 은유 활용 자아성찰 프로그램(M-SRP)개발
- 미디어 기반 영어 말하기 포트폴리오 활동이 대학생의 말하기 능력과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 살아남은 자의 책임과 타자윤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