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이용수 105
- 영문명
- A Study on on the People's Terrorism Response Behavior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홍서아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3호, 199~21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Lee와 Lemyre(2009)의 연구모형을 활용하여 국민의 테러위험인식이 테러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대테러정책의 국민참여의 중요성이 이미 선진국에서 인식되고 정책적인 연구가 시행되고 있는 만큼 우리나라 역시 국민이 위험발생 시 테러위험인식이 테러대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이 필요하다. 이러한 탐구를 통해 국민의 행동이 예측 가능하며, 예측된 행동은 미리 통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위험발생 시 국민이 혼란을 회피하고 효율적인 대응행동을 유도하는 정책방안을 제시한다. 궁극적으로 향후 국민에게 위해를 가하는 테러위험에 대한 국민의 반응을 이해하고 관리하여 다각적인 대테러정책을 설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impact of the public's perception of terrorist risk on terrorist response behavior using the research model of Lee and Lemyre (2009).As the importance of civic participation in counterterrorism policies is already recognized in developed countries and polic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Korea also needs to verify the impact of terrorism risk awareness on terrorist response actions in the event of a risk.Because people's behavior is predictable through this inquiry and predicted behavior can be controlled in advance, policy measures are proposed to avoid confusion and induce efficient response behavior in the event of a risk. Ultimately, it aims to understand and manage the public's response to terrorist risks that harm the people in the future and lay the foundation for designing effective social measure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설계
4. 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 요인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법적 지평과 쟁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호관찰대상자 분류 연구
- 언론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 프레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 이원화 자치경찰제에 적합한 전국 특별사법경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불법촬영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안전운전 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