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이용수 332
- 영문명
- Analysi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Behaviors among Korean Adolescent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박주애 윤여원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3호, 25~40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기존의 변수 중심 접근이 아닌 사람을 중심으로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 행태를 유형화하고, 각 청소년의 가해패턴에 맞는 효과적인 사이버불링 예방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학문적 기반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복지패널 2018」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잠재계층분석(LCA)을 통해 유사한 사이버불링 가해 패턴을 가진 청소년들의 잠재적 집단을 추출하였다. 또한 각 유형을 구성하는 청소년들의 인구사회학적(성별) 특성, 정신건강적(공격성, 우울, 그릿) 특성, 반사회적(현실비행) 특성, 그리고 사회유대적(교사관계, 친구관계, 부모양육태도) 특성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5개의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잠재집단을 가진 모델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둘째로, 모형 적합 지수와 유형별 가해행태, 표본 크기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 4개의 잠재집단을 가진 모델이 연구목적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4개의 잠재집단은 '저수준 가해 집단(n=2,087)', '언어폭력·사이버 감옥·플레이밍 집중 집단(n=36)', '언어폭력 집중 집단(n=74)', '고수준 가해 집단(n=5)'으로 구성되었다. 셋째, 사이버불링 가해의 잠재집단별 구성원들의 특성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비행, 교사와의 관계,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따스함, 자율성, 구조 제공)에서 예상치 못한 의외의 결과가 확인되었으며, 이로써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 유형화 및 각 유형별 세부 분석에 대한 후속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dolescent cyberbullying perpetration us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as opposed to the conventional variable-centered method. The goal is to create an academic foundation for tailoring cyberbullying prevention strategies that align with unique perpetration patterns shown by individual adolescent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Welfare Panel Study 2018」conducted by the Korea Institute of Child and Adolescent Welfare.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we identified latent groups of adolescents with comparable cyberbullying perpetration patterns. These groups were then studied to uncover distinctions in demographic charateeristics (gender), mental health factors (aggression, depression, grit), antisocial behaviors (delinquency), and relational factors (teacher relationships, friendships, parental caregiving attitud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l has been derived, which includes two to five latent groups, each displaying unique patterns of cyberbullting perpetration behavior. Second, considering model fit, types of perpetration behavior, and sample sizes, a four-group latent model has been determined as the most appropriate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These four latent groups are labeled as: 'Low-Level Perpetration Group (n=2,087)', 'Verbal Aggression · Cyber Prison · Flaming Concentrated Group (n=36)', 'Verbal Aggression Concentrated Group (n=74)', and 'High-Level Perpetration Group (n=5)'. Third,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within each latent cyberbullying perpetration group. However, unexpected outcomes are noted concerning delinquency, teacher relationships, and positive parental caregiving attitudes (warmth, autonomy support, structure). Consequently,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categorizing types of adolescent cyberbullying perpetration and conducting detailed analyses for each type is proposed.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 요인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법적 지평과 쟁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호관찰대상자 분류 연구
- 언론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 프레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 이원화 자치경찰제에 적합한 전국 특별사법경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불법촬영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안전운전 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