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89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olice Trust by Gender: Focusing on Stepwise Regression Analysis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전준하 정보성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3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시민 539명을 대상으로 남, 여 표본을 분리하여 도구적 요인, 표현적 요인, 공정성 요인 중 경찰신뢰 증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였고 성별에 따른 영향요인을 비교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과 여성 모두 경찰신뢰의 증가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수는 도구적 요인인 경찰효과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찰신뢰 제고에 가장 핵심적인 요소는 남, 여 모두 경찰효과성임을 의미한다. 둘째 남성과 여성 모두 경찰효과성 다음으로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공정성 요인인 절차적 공정성과 합법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신뢰의 영향요인에 관하여 남성과 여성이 차이를 보인 부분은 남성은 지역사회유대감이, 여성은 비공식적 통제가 경찰신뢰의 증가를 설명하는 표현적 요인으로서 검증됐다는 부분이다. 이 연구 결과는 시민들의 경찰신뢰를 제고하는 방향을 이해함에 있어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요인을 탐색하고, 연구대상을 남, 여 집단을 분리하여 분석을 진행함으로써 더욱 구체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parated male and female samples from 539 citizens living in Seoul to explore the factors that have the greatest influence on increasing police trust among instrumental, expressive, and fairness factors, and compared gender-based influencing factors. First, the variable that best predicts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in both men and women was found to be an police effectiveness. This means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police trust is police effectiveness for both men and women. Second, procedural fairness and lawfulness, which are factors that affect police trust after police effectiveness in both men and women, have been verified.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regarding the factors influencing police trust is that men's social cohension and women's informal control have been verified as factors that explain the increase in police trus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derived more specific analysis results by exploring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enhancing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 요인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법적 지평과 쟁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호관찰대상자 분류 연구
- 언론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 프레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 이원화 자치경찰제에 적합한 전국 특별사법경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불법촬영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안전운전 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