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75
- 영문명
- The Effect of Violence Allowance on Dating Violation Perpetration :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안해지 이창배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3호, 69~8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데이트폭력에 관련한 연구 중에서 학습된 폭력 태도 등의 원인에 대한 연구에 비해 폭력허용적 태도의 영향력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데이트 폭력 실태조사」 2015 중 미혼 남성 2,000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의 결과, 폭력허용도는 데이트폭력 가해 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폭력허용도는 물론 데이트폭력 가해와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이 둘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데이트폭력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effect of violence allowance o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The study used the 2015 Date Violenc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riminal Policy Institut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viol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Self-esteem had a negative (-) effect on dating violence perpetra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allowance and dating violenc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prevent dating violence and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self-esteem.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 요인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법적 지평과 쟁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호관찰대상자 분류 연구
- 언론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 프레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 이원화 자치경찰제에 적합한 전국 특별사법경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불법촬영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안전운전 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청소년의 체질량지수, 신체적 자아상과 자아정체감의 관계: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