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이용수 224
- 영문명
- North Korea’s YouTube cyberpropaganda, cognitive warfare and weaponized narratives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윤민우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9권 제3호, 83~10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의 유튜브를 활용한 사이버 심리전 또는 프로파간다는 최근 주목받는 인지전의 한 전술적 접근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인지전의 목적은 인간의 마음과 생각을 획득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중요한 것은 무기화된 내러티브이다. 내러티브를 무기로 비유하는 것은 청중들에게 내러티브를 전달하는 자의 의도하는 바를 관철시키게 되면 이는 전쟁의 승리를 위한 궁극적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북한의 위협은 한국에 매우 심각한 위협이다. 고도화된 북한 사이버기술공격이 인지전과 결합되었을 때 한국에 대한 북한의 위협이 심대하게 증대할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유튜브 프로파간다를 인지전 차원에서 수행된 연구는 아직까지 전무하다. 이 연구는 북한의 유튜브 내러티브를 분석하여 그 영향력과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해 질적분석방법인 구성주의적 내러티브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송아의 브이로그’에 업로드 된 동영상 내 다양한 내러티브들, 영상, 이미지, 음향, 문자 내러티브들이 분석되었다. 연구분석 결과와 정책적 제안 등이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North Korea has increasingly utilized YouTube as a platform for conducting cyber propaganda, specifically as a form of cognitive warfare. The objective of cognitive warfare is to influence and manipulate human minds and thoughts by employing weaponized narratives as a strategic tool. Weaponized narratives play a pivotal role in shaping the audience's perception and attitude, effectively aligning them with the desired intentions of the communicator. The threat posed by North Korea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national security. However, there remains a scarcity of studies examining the utilization of North Korea's YouTube propaganda within the context of cognitive warfare, which represents a dimension of hybrid warfare. To address this gap,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isks and impacts of North Korean YouTube propaganda narratives on the audience.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known as narrative analysis, this study thoroughly examines various narrative elements present in the videos uploaded on “Songah's Vlog”, including videos, images, audio, and textual narratives. The research findings, contributions, and policy sugges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thoroughly discussed
목차
1. 서 론
2. 북한의 사이버 인지전의 잠재적 위협능력과 인식과 내러티브의 중요성
3. 연구 방법
4. 분석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비행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 요인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 국민의 테러대응행동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 범죄피해자의 트라우마에 대한 법적 지평과 쟁점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보호관찰대상자 분류 연구
- 언론의 디지털 성범죄 보도 프레임에 따른 범죄두려움 차이
- 이원화 자치경찰제에 적합한 전국 특별사법경찰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성별에 따른 경찰신뢰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청소년의 불법촬영 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 인지전의 일환으로서 북한 유튜브 프로파간다 활용의 사례분석
- 폭력허용도 인식이 데이트폭력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안전운전 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
- 잠재계층분석을 이용한 한국 청소년 사이버불링 가해행태 분석
- 게임과 이미지를 활용한 사이버 인지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효과적 양육지식척도의 타당화 연구
- 어머니의 공감적 양육태도가 남녀 아동의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애착과 정서조절능력의 매개효과
- 취학 전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교사-유아 친밀-갈등관계를 다중병렬매개로 또래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