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古代 韓日 習書 木簡으로 본 하급관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Lower-level Officials as Seen in Wooden Tablets in Ancient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이동주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2輯, 309~33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では、古代韓日両国で出土した習書木簡を検討した。木簡は高価な紙に比べ周りで入手しやすい特性上、文書行政の補助材料として活用された。特に下級官吏は国の文書行政を支える一つの軸であった。彼らは文書生産時間を短縮するために文字を練習したり、考課評定で高い得点を得るために着実に経典を暗誦した。そのような痕跡が古代の韓日習書木簡にそのまま残っている。 一方、習書木簡には人面を描いた場合がある。木簡を使用した階級が下級官吏であったという点で、これは示唆するところが大きい。東アジアで官吏に進出するためには身言書判が重要な基準であった。外貌が重視されたのである。一部の文献には、俊秀な外貌を持つ官吏の活躍が確認される。下級官吏の目標は高位官僚群に進出することであった。彼らは文書を作成しながら、時には退屈な時間を紛らわせるために絵を描いた。ならば、耳目口鼻がはっきりした外貌は、当時彼らが渴望していた、あるいは似たい顔であった蓋然性が高い。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Shusho wooden letters excavated in both Korea and Japan in ancient times. Wooden letters were utilized as auxiliary materials for document administration because of their easy availability compared to expensive paper. In particular, lower-ranking officials practiced writing to shorten the document production time and recited scriptures steadily to obtain high scores in performance review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in which the Shusho Mokkan depicts human mask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the class of people who used these wooden scrolls were lower-ranking officials. In East Asia, personal appearance was an important criterion for advancement to the rank of official. In some documents, we can see the activities of officials with excellent appearance. The goal of lower-ranking officials was to advance to the higher ranks of the bureaucracy. Then,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with clear ears, eyes, mouth, and nose was the face they desired or wanted to resemble at that time.
목차
1. 머리말
2. 행정력의 단련, 습서
3. 相術, 외모지상주의
4. 人面이 발송하는 메시지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古代 韓日 習書 木簡으로 본 하급관리
- 仏教公伝と崇仏論争
- 日本神話の文化的継承と変容
- 日本のコロナ禍社会で見られた価値観の両極化
- 조선에서 추방당한 일본 시인, 고토 이쿠코의 시와 문학운동
- 일본 서비스 분야 어휘 분석
- 일본어 복합동사의 전항·후항 동사에 관한 고찰
- 일본어 교재의 커뮤니케이션 스트라테지 분석
- 国会会議におけるデスの非標準用法
- 일본어 표현문형의 통시적 연구
- 한·일 양국 매스미디어와 뉴미디어에 나타나는 감정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대조연구
- 일본어 終助詞와 한국어 終結語尾의 대응관계연구
- 『석일본기(釈日本紀)』 일본 고유명사의 성점에 대한 형태적 고찰
- 대학생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우리말 속의 일본어 사용실태에 관한 고찰
- 팀 기반 학습과 동료평가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