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 서비스 분야 어휘 분석
이용수 5
- 영문명
- Vocabulary Analysis in the Japanese Service Sector: Focusing on the Texbook for ‘The Test for Technical Ability of Service and Receiving Visitors’
- 발행기관
- 일본어문학회
- 저자명
- 하주영
- 간행물 정보
- 『일본어문학』第102輯, 205~22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일본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8.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本稿は日本のサービス分野への就職を準備している日本語学習者の語彙学習のため、「サービス接遇検定」の試験対策教材である『サービス業教科書すらすら合格サービス接遇検定準1級·2級·3級テキスト&問題集』をデータ化し、KH-Coderを利用して品詞別に分析した後、『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の語彙と比較した。なお、『日本語能力試験出題基準』の語彙との比較を通して、各サービス分野別の職務関連語彙と共に、共通的にJLPTの何級以上の語彙を学習し、また、その他、学習すべき語彙は何かについて調べてみた。その結果、名詞は1級までの語彙を学習してもサービス分野関連の語彙が54.45%しか理解できないため、1級の語彙と共に、1級以上の語彙と外来語も学習すべきであることがわった。動詞とナ形容詞は1級の語彙まで学習すると、約75%が理解できるため、75%以上の動詞とナ形容詞を理解するためには、1級と共に動詞は、1級以上の複合動詞を、ナ形容詞は1級以上のナ形容詞を学習すべき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なお、イ形容詞は1級までの語彙を学習すると、サービス分野のイ形容詞を約87%理解できるため、87%以上のイ形容詞を理解するためには、1級と共に1級以上の感情を表すイ形容詞を学習すべきことが分かった。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vocabulary in “Technical Ability of Service and Receiving Visitors” by using KH-Coder and then compared it to the vocabulary of “Japanese Language Proficiency Test Guidebook” through reanalysis in order to promote vocabulary acquisition of Japanese learners who are preparing for service staff members in Japan. Through comparison with JLPT, in the case of the job vocabulary for each service sector, what level of JLPT level or higher vocabulary should be learned in common, and what other vocabulary should be learned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Even if a learner acquires nouns to the level of JLPT N1, they can only understand 54.45% of vocabulary in service sector. So it was found that they had to learn vocabulary of JLPT N1 or higher, service sector vocabulary, and loanwords. About 75% of verbs and NA-adjectives can be understood by learning vocabulary up to JLPT N1. So it was found that various compound verbs and NA-adjectives had to learn vocabulary of JLPT N1 or higher. If a learner acquires I-adjectives to the level of JLPT N1, they can understand about 87% of vocabulary. So it was found that they had to learn the vocabulary of JLPT N1 or higher and I-adjectives expressing feelings.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연구방법
3. 「サービス接遇」의 품사별 어휘 분석
4.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古代 韓日 習書 木簡으로 본 하급관리
- 仏教公伝と崇仏論争
- 日本神話の文化的継承と変容
- 日本のコロナ禍社会で見られた価値観の両極化
- 조선에서 추방당한 일본 시인, 고토 이쿠코의 시와 문학운동
- 일본 서비스 분야 어휘 분석
- 일본어 복합동사의 전항·후항 동사에 관한 고찰
- 일본어 교재의 커뮤니케이션 스트라테지 분석
- 国会会議におけるデスの非標準用法
- 일본어 표현문형의 통시적 연구
- 한·일 양국 매스미디어와 뉴미디어에 나타나는 감정커뮤니케이션 양상에 관한 대조연구
- 일본어 終助詞와 한국어 終結語尾의 대응관계연구
- 『석일본기(釈日本紀)』 일본 고유명사의 성점에 대한 형태적 고찰
- 대학생들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우리말 속의 일본어 사용실태에 관한 고찰
- 팀 기반 학습과 동료평가 인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