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일전쟁 시기 일본의 울릉도·독도 군사적 침탈

이용수 90

영문명
Japan’s Military Invasion of Ulleungdo·Dokdo in the Russo-Japanese War: Focusing on the installation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ubmarine cable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서인원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4호, 99~130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러일전쟁에서의 울릉도와 독도의 군사 전략적 중요성과 쓰시마해전에서의 무선통신과 해저케이블의 군사적 가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일본은 러일전쟁 승리를 위해 한국을 식민지화하는 계획을 치밀하게 세워 전쟁을 준비하였고 영일동맹, 제국주의 열강과의 지지와 동맹으로 한국을 식민지화해 나갔다. 또한 한일의정서를 맺어 한국영토 내 및 연안에 있어 모든 군사상의 필요한 지역을 마음대로 사용하였고 외교권을 박탈하고 한국 군대를 해산하고 일본군을 주둔함으로써 한반도를 러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군사 전략적 기지화를 만들었다. 그리고 철도를 비롯해 모든 교통수단과 통신수단의 운영을 일본이 관장하면서 전쟁 수행 물자 수송의 용이성 및 정보전쟁에 있어 유리한 고지를 차지 위해 한국의 진해만과 마산, 부산의 한국전신국을 점령하고 진해만 점령으로 대한해협을 장악하였다. 한국 동해안에는 죽변-울릉도-독도-마츠에(이즈모)를 연결하는 해저케이블과 망루가 완성되었고 독도의 망루는 일본 해군이 러일전쟁 기간에 한국영토에 설치한 20개 망루 중 마지막 망루이었고 육상에서 동해 연안을 중심으로 116개소의 망루가 설치되어 러일전쟁에서의 제해권을 장악하는데 중요한 군사적 역할을 하였다. 도고 헤이하치로 제독이 특수임무가 없는 전함선의 수리를 끝내고 1905년 1월 21일까지 대한해협에 집결하라는 명령내린 후 겨우 1주일 후 독도 영토편입을 했다. 이것은 도고제독이 독도를 울릉도와 함께 해전 종결 예정지로써 결정한 증거이다. 이런 독도편입 각의결정은 도고 제독의 작전계획을 지원하기 위한 후속 조치이며 내각의 지원책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러일전쟁 중 쓰시마해전은 주로 울릉도와 독도근해에서 전투가 이루어졌고 일본에 있어 전략적으로 무선통신과 해저케이블을 이용하여 제해권을 잡았다. 일본에서는 쓰시마해전을 세계에 알리게 된 계기로 독도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고 독도 근해에서 러시아함대를 발견하고 즉각 출동한 일본 해군은 네보가토프 함대를 포위, 투항시켰다. 이것은 독도가 울릉도와 함께 러일전쟁 수행을 위한 군사적 전략 기지로써 이용되었다는 증거이다. 러일전쟁을 위해 한국전신국을 군사적으로 점령한 것은 국제법에 위반되는 행위라는 것을 일본에서도 충분히 알고 있었고 러시아와의 교전 전 러시아 상선을 중립국 항내에서 나포하는 것은 한국의 영해주권을 침해하는 행위로 명백히 국제법 위반이다. 일본은 외교관계 단절이 선전포고로 이어진 것이라는 정치적 해석이 가능하다고 해도 엄연히 외교단절 행위로의 선전포고는 국제법적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러일전쟁을 수행하기 위해 한국을 군사적 점령행위 또는 그러한 침범이나 공격의 결과로 한국의 영토인 독도를 병합하는 행위는 침략으로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러일전쟁 시기에 중립을 선언한 한국에 일본군이 상륙한 행위는 일본의 군사적 필요성에 의하여 이루어졌고 타국 영토에 대한 동의를 받지 못한 군사적 침략 행위로서 국제법 위반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e were analyzed the military and strategic importance of Ulleungdo and Dokdo in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military value of wireless communication and submarine cables in the Battle of Tsushima. Japan carefully planned to colonize Korea and prepared for war in order to win the Russo-Japanese War. It also colonized Korea with support and alliances with the Anglo-Japanese alliance and imperialist powers. In addition, all military-necessary areas on Korean territory and coasts were freely used by sign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diplomatic rights were deprived, the Korean army was disbanded, and the Japanese army was stationed in the Korean Peninsula to make the Korean Peninsula a military and strategic base for carrying out the Russo-Japanese War. In addition, Japan took charge of the operation of all means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cluding railroads, and occupied Jinhae Bay, Masan, and the Korea Telegraph Bureau in Korea in order to occupy an advantageous position in the information war and the ease of transport of war supplies and Jinhae Bay in the Korea Strait. The submarine cable and watchtower connecting Jukbyeon-Ulleungdo-Dokdo-Matsue (Izumo) was completed on the east coast of Korea, and the watchtower on Dokdo was the last of the 20 watchtowers installed on Korean territory by the Japanese Navy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116 watchtowers were installed around the coast, which played an important military role in seizing control of the sea in the Russo-Japanese War. Only one week after Admiral Heihachiro Togo completed the repairs of battleships without special missions and ordered them to assemble in the Korean Strait by January 21, 1905, Dokdo was incorporated into the territory. This is evidence that Admiral Dogo decided Dokdo together with Ulleungdo as the expected end of the naval battle. This decision by the Cabinet to incorporate Dokdo is a follow-up measure to support Admiral Dogo's operational plan and can be said to be one of the Cabinet's support measures. The Battle of Tsushima was mainly fought in Ulleungdo and Dokdo, and Japan strategically took control of the sea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and submarine cables. In Japan, Dokdo is highly regarded as an opportunity to inform the world of the Battle of Tsushima. The Japanese navy immediately dispatched the Nebogatov fleet and surrounded it and surrendered it after discovering the Russian fleet near Dokdo. This is evidence that Dokdo was used together with Ulleungdo as a strategic base for the Russo-Japanese War. The act of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in order to carry out the Russo-Japanese War or the annexation of Dokdo, the territory of Korea as a result of such invasion or attack, can be defined as aggression. In addition, the landing of Japanese troops in Korea, which declared neutrality in the Russo-Japanese War, is an act of military aggression without consent to the territory of another country made out of Japan’s military necessity,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act in violation of international law.

목차

1. 서론
2. 러일전쟁에서의 일본의 군사적 행동과 정보전쟁
3. 울릉도·독도에서의 무선통신과 해저케이블 설치의 군사적 중요성
4. 쓰시마해전에서의 무선통신의 군사적 가치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인원. (2023).러일전쟁 시기 일본의 울릉도·독도 군사적 침탈. 독도연구, (), 99-130

MLA

서인원. "러일전쟁 시기 일본의 울릉도·독도 군사적 침탈." 독도연구, (2023): 99-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