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 조항과 SCAPIN 제677호의 관련성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이용수 57

영문명
Analyses on the legal status and probative value of SCAPIN No. 677 regarding territorial provisions of the Peace Treaty with Japan
발행기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저자명
김원희
간행물 정보
『독도연구』제34호, 7~3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과 일본 정부는 1952년 1월 18일 대한민국이 선포한 「인접 해양에 관한 주권 선언」으로 촉발된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왕복외교문서에서 SCAPIN 제677호에 대해 다른 견해를 표명하였다. 우리나라와 일본의 학자들 역시 SCAPIN 제677호의 법적 효력과 독도 영유권 문제와의 관련성에 관해 서로 상이한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논쟁의 핵심은 연합국총사령관이 독도 영유권의 귀속을 최종적으로 처분할 권한이 있었는지, 나아가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이 SCAPIN 제677호를 반영하여 독도를 한국의 영토로 귀속시켰다고 볼 수 있는지이다. 이러한 문제에 답하기 위해서는 SCAPIN 제677호와 강화조약의 문언만을 검토하고 분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법상 전시점령당국이 피점령국의 영토 범위를 확정할 권한을 보유하고 있었는지, 그리고 일본이 포기해야 할 영토 범위에 독도가 명시되지 않은 강화조약의 영토조항이 어떠한 조약법 원칙에 의해 해석하고 뒷받침해야 하는지를 규명해야 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의 국제법에 따르더라도 전시 점령당국이 피점령국의 영토를 최종적으로 처분할 권한이 없었기 때문에, SCPAIN 제677호가 최종적으로 독도를 일본의 영토에서 배제시켰다는 주장은 국제법적 근거가 빈약하다. SCAPIN 제677호가 독도의 영토 권원에 대한 직접적 증거라거나, 그에 따라 독도 영유권 귀속이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는 주장은 한일 양자관계뿐만 아니라 제3국에게도 설득력을 가지기 어렵다. 그렇다고 해서 SCAPIN 제677호가 독도 영유권 문제와 관련하여 아무런 법적 가치나 증명력을 갖지 못하는 문서라는 주장이 타당한 것은 아니다. SCAPIN 제677호가 독도 영유권과 관련하여 개별적인 문서로서 갖는 법적 효력이나 증명력은 낮다고 할지라도, 전후처리 과정에서 연합국과 일본이 합의한 카이로 선언, 포츠담 선언, 항복 선언 등의 문서와 연계하여 당시 연합국의 인식을 보여주는 증거로 활용해야 한다. 즉 SCAPIN 제677호는 독도가 일본의 식민주의적 폭력과 야욕에 취득된 영토이므로 한국에게 반환되어야 한다는 당시 연합국의 인식과 실행을 나타내는 증거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연합국총사령관이 초기 대일 점령정책을 이행하면서 발령한 SCAPIN 제677호에 근거하여 독도를 일본의 통치 범위에서 배제했다는 점은 연합국이 당시에 독도가 일본의 식민주의적 침략에 의해 취득된 영토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는 증거로서 일정한 증명력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Government of Korea and Japan expressed different views on the legal status of SCAPIN No. 677 in the exchange of diplomatic notes regarding the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triggered by the 「Declar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Oceans」 by the Republic of Korea on January 18, 1952. International law scholars in Korea and Japan also had taken different views on the legal effect of SCAPIN No. 677 concerning the sovereignty over Dokdo. The crux of the debate is whether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llied Powers had the authority to dispose of the sovereignty of Dokdo finally and whether SCAPIN No. 677 can be regarded as evidence of the sovereignty of Korea. To answer these questions, reviewing and analyzing the text of SCAPIN No. 677 and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is not enough. We should closely examine whether the post-war occupying authority, the SCAP retained the power to determine the territorial scope of the occupied state at the time of military occupation after World War II.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delve into whether SCAP and the Allied Powers considered Dokdo as the territory that Japan had taken by violence and greed so that she should be expelled from it. The argument that SCPAIN No. 677 finally excluded Dokdo from Japanese territory has no grounds under international law because the post-war military occupation authorities did not have the power to dispose of the occupied country's territory. Besides, the argument that SCAPIN No. 677 is direct evidence of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and that the sovereignty over Dokdo was finally decided based on it is not convincing. However, it is not reasonable to argue that SCAPIN No. 677 has no relevance or probative value concerning the territorial title over Dokdo. Although SCAPIN No. 677 alone cannot provide conclusive evidence concerning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f Dokdo, it could be convincing evidence showing the Allied Powers' perception at the time that Dokdo was the territory that Japan had taken by violence and greed so that she should be expelled from it in light of the documents such as the Cairo Declaration, Potsdam Declaration and Instrument of Surrender. In other words, SCAPIN No. 677 can play a certain role in proving the recognition and practice of the Allied Powers at the time that Dokdo should be returned to Korea as Japan had taken it by imperial violence and greed. The fact that the Commander-in-Chief of the Allied Powers excluded Dokdo from Japan's scope of control based on SCAPIN No. 677 while implementing the initial occupation policy toward Japan indicates that the Allied Powers had the perception that Dokdo was taken by Japan's colonial aggression at the time.

목차

1. 서론
2. SCAPIN 677호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입장
3. 연합국최고사령부의 법적 지위와 권한 범위
4.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조항과 SCAPIN 677호의 관련성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원희. (2023).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 조항과 SCAPIN 제677호의 관련성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독도연구, (), 7-36

MLA

김원희.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의 영토 조항과 SCAPIN 제677호의 관련성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독도연구, (2023): 7-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