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학습자의 해라체 평서문 습득 양상
이용수 3
- 영문명
- Study on the Acquisition of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by Learners of Korea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엄진숙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4호, 193~21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learners of Korean’ acquisition of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through usages of written language text. First, how is use appearance by learners of Korean of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Second, how is acqusitional appearance of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This paper shows, by analysing the usages of composition data, learners of Korean acquire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through the following acquisitional stage; 1) Learners of Korean use final-ending of Hera style ‘-da’ as a literary style according to proficiency increasingly like native speaker. This result means a stage that learners of Korean acquire ‘-da’ of a character as a literal style. This is similar to usages of a native speaker of Korean. 2) There are 3 types of morphological interlanguage of ‘-da’ regardless of Learners’ proficiency. 3) Learners of Korean use a first-person pronoun ‘jeo’ at a high rate from level 2 in declarative sentences of Hera style, a final-ending ‘-da’ involved [-honorific] feature with a first-person pronoun involved [honorific] feature. But as time passes learners seems like to acquire usage of first-person pronoun in declarative sentences of Hera style. It increased by learners’ proficiency. In conclusion learners of Korean haven’t acquired of target-like use of declarative sentences of Hera style yet both of form and use in a sentence but they are being acquired of a declarative sentence of Hera style.
목차
1. 머리말
2. 연구 배경 및 연구 문제
3.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4. 분석 결과 및 논의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tudy on Reading-to-write Task for KAP Learners
- 한국어와 영어 이중모음의 대조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 한국어 접속표현과 영어 접속표현의 변환(shift)현상 연구
- 한국어 문화문법(ethno-grammar)의 설정 가능성에 대하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 어휘교육 실험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적 고찰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 구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발 표현 연구
- 한국어 음절 종성 지각에 모국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해라체 평서문 습득 양상
-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