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이용수 6
- 영문명
- Analysis of errors in the usage of Korean grammatical particles by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전영옥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4호, 27~62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types of errors found in the writings of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from Korean language intermediate classes in Korea, in order to examine the education of Korean particles for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Among the various errors in using Korean particles many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make, the most frequently made was the replacement of particles, followed by omission and addition of particles due to insufficient knowledge of the language that they are not sure whether a particle is needed or not in a sentence as a component. And when they do not have sufficient knowledge of the morphology of particles, they make errors such as spelling errors as well as paraphrasing in some cases, where particles were replaced with other parts of speech or phrases. Therefore, in teaching Korean particles, first of all, it is important to make them to understand the role of particles in a sentence, and the meaning and function of each particle in relation to predicates together with the morphology have to be taught for correct usage as well. The particles with high rate of frequency in usage and high rate of making errors include: ‘이/가, 을/를. 은/는. 에, 의, 에서, (으)로, 와/과, 에게, (이)라고, 한테’.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ructure textbooks centering on the particles that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easy to make mistake. And the textbooks should also include examples of wrong particle usage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correct usage and mistaken usage. However, some Korean textbooks mainly used in teaching the female marriage-based immigrants at present do not include any chapter dealing with the main particles, and also there is not enough explana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particles that are often mistaken, either, which also need to be supplemented.
목차
1. 머리말
2. 오류 분석
3.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교재 분석
4.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tudy on Reading-to-write Task for KAP Learners
- 한국어와 영어 이중모음의 대조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 한국어 접속표현과 영어 접속표현의 변환(shift)현상 연구
- 한국어 문화문법(ethno-grammar)의 설정 가능성에 대하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 어휘교육 실험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적 고찰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 구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발 표현 연구
- 한국어 음절 종성 지각에 모국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해라체 평서문 습득 양상
-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