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발 표현 연구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expressions of consecutive events for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jamaja’ and ‘-neun daero’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미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2권 4호, 63~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esent the actual use of expressions of consecutive events, ‘-jamaja’and ‘-neun daero’, by investigating spoken and written corpora depending on registers. Through this examination, the actual distribution and patterns of those expressions are suggested. This study aims to consider how ‘-jamaja’ and ‘-neun daero’ are used in spoken and written discourse by examining the placement and patterns of the expressions on the basis of varied context, register, and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Based on the key findings of the study, three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ly, ‘-jamaja’ and ‘-neun daero’ are included in the same category in current Korean education. The result implies that these items need to be presented in different categories in the instruction. Secondly, the pattern of ‘-neun daero’ were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spoken and written formats. Accordingly, it seems to be reasonable to take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in the instruction. In written discourse, -neun daero’ frequently occurred with expressions of ‘plan’ and ‘schedule’ in the second clause. Thus, it seems desirable to present the item along with such expressions. In spoken discourse, the relationship between speakers and listeners were official and the discourse settings were formal. Therefore, it seems to be effective to provide dialogs used in those settings such as in business or work-related field, or between relationships which require politeness. Thirdly, both spoken and written context, the first and the second clauses of ‘-jamaja’ and ‘-neun daero’ were frequently used separately. This point should also be considered in the instruction.
목차
1. 서론
2. ‘-자마자, -는 대로’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3. 말뭉치에 나타난 ‘-자마자, -는 대로’의 특징
4. 한국어교육을 위한 ‘-자마자, -는 대로’에 대한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Study on Reading-to-write Task for KAP Learners
- 한국어와 영어 이중모음의 대조분석
- 한국어능력시험 초급 어휘·문법 영역의 문항 목록 분석
- 한국어 접속표현과 영어 접속표현의 변환(shift)현상 연구
- 한국어 문화문법(ethno-grammar)의 설정 가능성에 대하여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한국어 어휘교육 실험연구에 대한 연구방법론적 고찰
-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조사 오류 분석
- 구어에 나타나는 한국어 연결어미 ‘-는데’의 의미 연구
- 한국어교육을 위한 연발 표현 연구
- 한국어 음절 종성 지각에 모국어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한국어 학습자의 해라체 평서문 습득 양상
- 한국어 교육에서 수준별 시 텍스트 선정을 위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청소년 입말에 나타난 비속어ㆍ유행어ㆍ은어 사용 실태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기미통신사(1439)와 高得宗
- 「德谷師友淵源錄」에 나타난 회봉 문인의 현황과 분석
- 1980년대 무크문학과 무대 재현의 욕망 - 부산 무크지 『지평』과 『전망』에 수록된 희곡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