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국인 유학생이 생산한 설득적 텍스트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n Analysis of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KAP Students: in perspective of Genre-based Model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나리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3호, 143~183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in KAP(Korean as an Academic Purpose) largely in view of genre-based grammar model. Writing persuasive texts are one of the most crucial tasks in language curriculum since its ability is highly needed communicative skills which requires much of train and practice. Nevertheless, in KAP area, persuasive writing has not been mainly discussed, yet. In order to become fundamental research of how to teach writing a persuasive text in KAP, this study analyses persuasive texts produced by foreign students in perspective of genre-based grammar model which is regarded as one of the most educational grammar models in ESP(English as a Second Language). Overall, this analysis finds commonly outstanding phenomenon in foreign students’ texts. Educational methods which are suggested on the grounds of this analysis are followings. The hierarchy of meaning structures and its corresponding expressions should be learned, respectively. Rather than connecting words such as “grigo”, “graseo” etc., various kinds of complex expressions are necessary to be educated as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gets higher. Variation of expressions should be learned, as well. Practice which changes speaker-involved tone into non-involved tone in texts are needed, also. Both of definition and quotation should be recognized by a KAP learner as effective ways to clarify the topic of his persuasive text and to intensify validity of his own argument. (University of Seoul)
목차
1.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2. 이론적 배경
3. 외국인 유학생의 설득적 텍스트 분석
4. 결론 및 제안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