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의 한국어학과 고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
이용수 13
-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Korean integrated textbooks for advanced Learners of Chinese Korean language Department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남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5권 3호, 59~110쪽, 전체 52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9,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used in China, which is based on the theory of materials compiling in teaching and the educational concep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making suggestions for the compiling and development of advanced teaching materials for the learners of Korean. First, in Chapter 2, it is explained that integrated Korean education is also necessary for advanced learners and in terms of setting up standards for compiling teaching materials, it is also necessary t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learners.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aim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advanced learners, which is based on the teaching goals of Korean study. In Chapter 3, the properties mentioned above will be showed by the common standard of analysis of teaching materials and the evaluation items for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will also be given out. In Chapter 4, according to the evaluation standard mentioned before, the structure, system, language factors and study activities of 6 kinds of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currently used in China will be analyzed. In the part of conclusion, specific sugges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integrated teaching materials will be given out based on analysis above.
목차
1. 서론
2. 고급 한국어 통합 교재의 당위성 및 성격
3. 기존 고급 한국어 통합 교재의 비교 분석
4. 고급 한국어 통합 교재 개발을 위한 제언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중국인 학습자
고급 한국어 통합 교재
고급 단계 학습(자)의 특징
통합 교재 당위성
기존 교재 분석
교재 개발 연구
Chinese Korean learners
advanced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the characteristics of advanced learners
the necessary of the integrated Korean teaching materials
analysis of pre-existing teaching materials
research on compiling teaching material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