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이용수 32
- 영문명
- The Needs Analysis of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홍은실 박현정 조수진 민병곤 안현기 오예림 강석한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7권 4호, 243~26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ested groups’ needs for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Two hundred twenty nine foreign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studied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chools, one hundred three professors who have taught foreign students, and forty one university institutional staff members whose work is related to foreign students have taken part in the survey. The direction for test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and the considerations in developing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were investigated through the needs survey.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 speaking test for the academic purposes should be adopted because the tests for the general purposes could not cover the academic ability for the foreign students. Also the criteria for the test are needed to be set up to mitigate the perception gap of interested groups’ academic speaking proficiency. Futhermore, we reviewed various constructs beyond linguistic competence and considered test takers’ background variables when we develop Korean speaking test for academic purpos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전제
3. 연구 방법
4. 결과 분석
5.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교육용 과제 구성 방안 연구
- 의료관광 한국어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듣기-쓰기 요약 과제 수행 양상
-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대화 행위 주석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련도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양상
- 영상매체 제작을 통한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표현기제 연구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