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매체 제작을 통한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표현기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A Study of the Expression Mechanisms According to Culture Among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through Video Media Production: Focusing on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Majors in China and the UK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향 엄나영 조숙연
- 간행물 정보
- 『한국어교육』27권 4호, 123~153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 and needs of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and to seek a solution through the use of media. To do this, we divided learners into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reas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As learners who grew up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areas have different background knowledge and learning needs, it is very important for teachers running classes in each area to underst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ulture areas of the learners. This research used surveys and media production assignments to investigate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undergraduate Korean language majors at overseas universities and to seek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each location. Through this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e analysed what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need in a learning environment, and what they think about using media for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needs, we found that using media is not only familiar to overseas Korean language learners already but also useful as a method of learning. In the second place, we checked how the mother-culture that learners acquired as they grew up in each culture area influences their Korean speaking assignments. We had the learners conduct a speaking task and then submit it in video form. From analysing these assignments we reached the following three conclusions. First, Eastern and Western learner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in choosing subjects and creating the content. We found that most Eastern learners made content with similar topics, while Western learners were interested in more varied topics. Second, Eastern and Western learners showed a difference in the way they developed the content. Eastern learners preferred a format that develops the story depending on its situational context, while Western learners preferred conveying a story that pivoted on factual information. Third, there was difference of accuracy and fluency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Eastern learners tried to speak accurately in communicating through the second language, while Western learners tried to speak fluently with an emphasis on interacton.
목차
1. 서론
2. 동서양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인식 차이
3.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요구 분석
4. 영상매체 제작에 반영된 문화권별 표현기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교육용 과제 구성 방안 연구
- 의료관광 한국어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능력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듣기-쓰기 요약 과제 수행 양상
- 한국어 학습자 구어 말뭉치의 대화 행위 주석 체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ustralian Schools and Universities: Current State, Issues and Challenges
-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숙련도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과 파찰음의 변별 지각 양상
- 영상매체 제작을 통한 국외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권별 표현기제 연구
- 외국인 학부생 대상 대학 글쓰기 과목의교재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갈등과 탐구의 고전문학 교육 방법론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 한국어교육 36권 1호 목차
- 보호된 내용 수업을 적용한 전공 강의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의 인식과 강의 개선 방안 연구 - 일반 전공 수업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구·문어 DCT를 활용한 학업적 맥락에서의 한국어 요청 화행 수행 양상 연구 - 담화 환경에 따른 요청 전략과 표현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